본문내용
1. 서론
1.1. 알코올성 간경화증의 정의와 특징
알코올성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간세포 괴사로 발생한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린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의미한다.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코올 섭취이며, 알코올은 간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가 있어 알코올성 간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알코올성 간경화증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세포 파괴와 염증, 지방 침착, 섬유화의 진행으로 발생한다. 특히 영양부족과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상흔조직이 간 전체로 퍼지고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조직이 침윤되면서 간경화증으로 진행된다.
1.2. 간경화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간경화증은 만성 간 질환의 말기 단계로,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과 섬유화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B형 간염이다. 그 외에도 알코올 남용, 지방성 간염, 약물이나 독성 물질, 담즙성 질환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알코올은 간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를 가지며, 반복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가 파괴되고 섬유조직이 침착되어 간경화증을 유발한다. 알코올성 간경화증을 일으킬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개인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지방성 간염은 간에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비만과 고지혈증이 주요 위험 요인이 된다. 지방성 간염이 진행되면 섬유화와 간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약물이나 독성 물질 또한 간세포를 심각하게 손상시켜 간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한 일부 약물이나 한약재, 유기용매 등의 독성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담즙성 질환은 쓸개즙의 정체, 염증 또는 섬유화로 인해 쓸개즙의 흐름이 막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간경화증이 유발될 수 있다. 담즙성 간경화증에는 일차성 담즙성 간경화와 일차성 경화성 담관염이 해당된다.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 질환도 간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해 간으로 유입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간이 정맥혈을 저장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간이 비대해지고 섬유화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으로는 알코올 남용, 지방성 간염, 약물 및 독성물질 노출, 담즙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지속적으로 간에 손상을 줌으로써 간경화증이 발생하게 된다.
1.3. 간경화증의 발생빈도
201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간의 섬유증 및 경화로 사망한 사람은 2,288명으로 십만 명당 4.5명이었다. 2017년에는 2,366명이 사망하고 십만 명당 4.6명이 사망하였다. 2018년 알코올성간질환으로 진료실을 찾은 사람은 737,664명이었다. 간경변증의 원인 중 하나인 알코올은 전체 간경변증 원인의 20%를 차지한다. 이처럼 간경화증은 사회적으로 널리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히 알코올성 간경화증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간경화증의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2. 알코올성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2.1. 간경화의 발생과정
간경화증은 반복되는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간염바이러스나 독성물질에 장기간 노출되면 간세포가 파괴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간세포가 재생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간 조직이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체된다. 간섬유화가 진행되면 간은 굳어지며, 결절이 형성되면서 혈관과 쓸개즙 통로가 압박된다. 이로 인해 혈액의 간 통과가 어려워지고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간경화증의 대부분의 증상은 문맥압 상승으로 인한 합병증에 의해 나타난다. 간경화가 진행되면 간의 크기는 위축되지만, 초기에는 간이 커지고 단단해지는 특징이 있다. 결국 반복적인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간세포가 파괴되고 재생결절로 대체되어 간경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2.2. 섬유화와 간 구조 변화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간 염증으로 인한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리는 병리조직학적 변화이다. 간세포가 간염바이러스나 독성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섬유모세포가 침윤하고 콜라겐이 형성되어 상흔조직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러한 염증과 섬유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간 전체로 퍼져나가고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조직이 광범위하게 침윤된다. 이에 따라 간의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이 파괴되어 결절이 형성되고 혈관구조가 뒤틀리게 된다. 특히 문맥계와 간정맥계의 혈관구조가 크게 변형되어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섬유화와 재생결절의 형성은 쓸개즙의 흐름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를 방해하여 문맥압 상승과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한다. 간이 굳어지면 간에 들어오는 혈액이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문맥압이 상승하고, 이는 결국 위장관 정맥류 출혈, 복수 등의 문맥성 고혈압 합병증을 유발한다. 결국 간경화증의 진행에 따른 섬유화와 구조 변화는 간 기능의 저하와 문맥압 상승을 야기하여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2.3. 문맥압 상승과 합병증
간경화증이 진행됨에 따라 간내 혈관저항이 증가하여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문맥압 상승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데,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복수, 간성뇌병증, 식도-위 정맥류 출혈 등이 있다.
간내 혈관저항의 증가는 간경화성 변화에 의한 간실질의 구조적 변형과 혈관의 압박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문맥으로 유입되는 혈액량 증가와 문맥으로의 혈관저항 증가로 인해 문맥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복강 내 정맥계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복수 형성의 원인이 된다. 간경화증 환자의 약 50%에서 복수가 발생하며, 복수는 호흡곤란, 복부팽만감,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문맥압 상승은 간-장관 순환계의 이상을 초래하여 장관에서 생성된 암모니아가 간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암모니아 농도가 상승하고, 이는 간성뇌병증의 발생 원인이 된다. 간성뇌병증은 의식저하, 지남력 장애, 운동이상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문맥압 상승은 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