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농도 단위의 이해
1.1. 몰농도(Molarity)
몰농도는 용액 1리터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몰로 나타낸 것이다. 실제 용액은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보정인자를 도입하거나 몰랄농도처럼 온도와 무관한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몰농도의 SI단위는 mol/m3이지만, 대체적으로 mol/L(=mol/dm3)을 더 많이 사용한다.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를 용액의 부피로 나누어 계산한다. 예를 들어, 1M 용액은 1리터의 용액에 1몰의 용질이 녹아 있다는 뜻이다. 몰농도를 사용하면 용액의 성질을 예측하거나 정량적인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화학 실험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생화학, 의학 등의 분야에서도 중요한 개념이 된다. 몰농도는 화학량론 계산, 화학반응 속도 분석, 전해질 용액의 성질 예측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화학 및 생물학 실험의 기본이 된다. 따라서 몰농도에 대한 이해는 실험과 이론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1.2. 노르말농도(Normality)
노르말농도는 용액 1리터당 용질의 당량수를 나타내는 농도 단위이다. 산-염기 반응이나 산화-환원 반응 계산에 주로 사용된다. 노르말농도(N)는 용질의 몰농도(M)에 당량수(n)를 곱한 값으로 표현된다. 즉, N=M×n이다. 따라서 1N 용액은 용액 1리터당 1당량의 용질이 녹아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1N NaOH 용액은 1M의 NaOH 용액이 된다. 이처럼 노르말농도는 용질의 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반응양론 계산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또한 노르말농도는 몰농도와 달리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도 노르말농도로 농도를 표시하면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 반응 계산이나 산화-환원 적정 실험에서도 노르말농도 개념이 유용하게 활용된다.
1.3. 몰랄농도(Molality)
몰랄농도는 용매 1kg당 녹아있는 용질의 양을 말한다. 부피는 온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몰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몰랄농도는 어는점 내림, 끓는점 오름 등에 사용된다. 몰랄농도의 단위는 mol/kg이다. 몰랄농도는 온도변화에 따른 용액의 부피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용액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몰랄농도는 주로 과학실험이나 화학공정에서 용액의 농도 관리, 물성 예측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1.4. 부피비(pph, ppt, ppm, ppb)
pph, ppt, ppm, ppb는 부피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ph는 백분의 일, ppt는 천분의 일, ppm은 백만분의 일, ppb는 십억분의 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위는 미량의 성분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되며, 화학 실험이나 분석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용액에 산소가 1ppm 정도 함유되어 있다면, 이는 1,000,000분의 1의 비율로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부피비를 나타내는 pph, ppt, ppm, ppb는 미량 성분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2. 산-염기 적정 실험
2.1. 몰농도와 노르말농도의 차이
몰농도(Molarity, M)는 용액 1리터 당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용질의 몰수는 질량을 분자량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몰농도는 질량/(용액의 부피 × 분자량)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노르말농도(Normality, N)는 용액 1리터 당 용질의 당량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1N 용액은 용액 1리터 당 1당량의 용질이 녹아있는 농도이다. 당량수는 분자량을 그 화합물 내 수소 이온(H+) 또는 수산화 이온(OH-)의 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노르말농도는 질량/(용액의 부피 × 당량량)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몰농도와 노르말농도의 차이는 용질의 몰수를 기준으로 하느냐, 당량수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있다. 예를 들어 HCl은 몰농도와 노르말농도가 동일하지만, H2SO4의 경우 몰농도는 2배이다. 이는 H2SO4 한 분자에 2개의 H+ 이온이 있기 때문이다.
농도 계산 시 몰농도는 화학반응식에 따른 화학양론 관계를 유도할 때 유용하지만, 산-염기 적정 등 당량관계가 중요한 반응에서는 노르말농도가 더 유용하다. 따라서 각 실험 목적에 따라 몰농도 또는 노르말농도 중 적절한 농도 단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농도 희석의 실제 적용
농도가 진한 용액에서 희석하여 농도가 낮은 용액을 만드는 것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