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지역사회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태안 지역사회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태안 지역사회 간호과정 연구의 필요성
1.2. 재난과 간호활동에 대한 개념
1.3.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국내 사회 재난 - 태안 기름 유출 사고
2.1.1. 사례
2.1.2. 원인
2.1.3. 피해
2.1.4. 대응
2.1.5. 간호 활동
2.2. 국외 자연 재난 - 튀르키예 대지진
2.2.1. 사례
2.2.2. 원인
2.2.3. 피해
2.2.4. 대응
2.2.5. 복구
2.2.6. 간호 활동
2.3. 국내 사회 재난 - 중동기 호흡기 증후군 'MERS' 유행
2.3.1. 사례
2.3.2. 원인
2.3.3. 피해
2.3.4. 대응
2.3.5. 간호 활동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태안 지역사회 간호과정 연구의 필요성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재난은 크게 자연 재난과 사회 재난으로 분류된다. 현대 사회에서 재난은 점점 빈도가 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관여되는 영역 및 분야가 증가하고 위기 상황에 노출되는 사람과 대응에 필요한 자원의 수가 늘면서 위기관리 과정도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21세기 들어 새로운 위협이 증가하고 사회적 취약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재난 관리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때 재난의 예방부터 대비, 대응, 복구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신종 전염병인 MERS, 튀르키예 대지진, 태안 기름 유출 사고 등 대형 재난 사고를 분석하여 현재 국내외 재난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안에서 간호 활동은 얼마나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1.2. 재난과 간호활동에 대한 개념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이다. 재난은 자연 재난과 사회 재난으로 분류되며, 현대 재난은 재난의 종류와 상관없이 점점 빈도가 늘고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관여되는 영역 및 분야가 증가하고, 위기 상황에 노출되는 사람과 대응에 필요한 자원의 수가 늘면서 위기관리 과정도 복잡해지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며 새로운 위협이 증가하고 사회적 취약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 따라 재난 관리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때 재난의 예방부터 대비, 대응, 복구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간호사는 재난 발생 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간호사는 재난 예방을 위해 의료기관 내 감염 관리 지침 마련, 재난 교육 및 훈련 실시 등의 활동을 한다. 재난 발생 시에는 피해 대응을 위해 의료 서비스 제공, 상담 및 교육, 물자 지원, 정보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재난 복구 과정에서 심리사회적 지원, 건강관리 등 다양한 활동으로 재난 피해 극복을 지원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재난 예방, 대응, 복구의 전 과정에서 활동하며 재난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1.3. 연구의 목적

태안 지역사회 간호과정 연구의 필요성과 재난 상황에서의 간호 활동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발생했던 국내외 대형 재난 사례인 태안 기름 유출 사고, 튀르키예 대지진, 그리고 MERS 유행 사례를 분석하여 각 재난 상황에서 간호사들의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난 관리 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향후 더 나은 재난 대응 체계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간호사는 재난 상황에서 실무지침 마련, 정보 관리, 교육 및 훈련, 자문 및 상담, 노출자 관리, 심리지원, 물자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활동들은 재난 예방, 대응, 복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내외 주요 재난 사례에 대한 간호 활동 분석을 통해 재난 관리 체계 내에서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국내 사회 재난 - 태안 기름 유출 사고
2.1.1. 사례

태안 기름 유출 사고는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인근 해상에서 선박 충돌로 인해 다량의 기름이 유출하여 발생한 국내 최대의 해양오염 사고이다. 사고 당시 유출된 기름(1만 2547kL)은 1995년 시프린스호 유조선 좌초 사건 때보다 2.5배 많으며, 1997년 이후 10년간 유출된 기름(1만 234kL)보다도 많다. 이 사고는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 가던 지역 주민들에게 심각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입혔다.


2.1.2. 원인

사고가 발생한 태안 앞바다 지역은 4개의 지각판이 만나는 아나톨리안 단층대가 위치해 있어 지진 발생이 잦은 지역이다. 2007년 12월 6일 14시 50분, 인천항을 출발한 삼성중공업의 예인선과 크레인 선은 기상악화로 인해 인천항으로 회황하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6시 17분 위험을 감지한 관제소는 예인선에 경고를 보냈고, 십분 후, 유조선측에도 충돌의 위험을 경고하였다. 이에 유조선측은 닻을 풀고 70미터 후방으로 이동했으나, 약 20분 후, 예인선과 와이어가 끊어진 크레인 선은 표류하기 시작했고,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6분, 충남 태안군 원북면 해상에서 예인선(T-5,T-3)과 연결된 밧줄이 끊어진 채 표류하던 삼성중공업 소속 해상 크레인(14만 5천톤급)과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는 총 9차례의 충돌로 인해 유조선의 옆 부분이 파손되면서 대략 10,500여 톤의 기름이 바다로 유출되었다.


2.1.3. 피해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7개소의 해안사구와 13개소의 산림지역이 훼손되었다. 어패류의 대량 폐사가 발생하였고, 세계적인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까지 위협받게 되었다. 또한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무척동물의 종수와 개체 수가 대량으로 감소하였다. 해산물 시장의 운영이 중단되어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맨손어업이 불가능해져 어민들의 생계활동에 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인근 주민들은 두통, 호흡기 이상, 시력 이상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급성 노출 증상을 겪었다. 경제적 피해로 인해 태안 주민 4명이 자살하기도 하였다.


2.1.4. 대응

기상악화로 사고 발생 40시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방제조치를 취하지 못했고, 그 사이 유출된 원유 10,900톤은 바다로 흘러들었고 삽시간에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사고 9일째는 서천에, 사고 26일째는 진도 부근까지 기름이 흘러가 그 피해가 일파만파로 확산되었다.

07:20 대산지방해양수산청 충돌 사고 신고 접수이다. 07:30 태안해양경찰서로 보고되었고, 07:40 해양경찰청으로 보고되었다. 08:00 태안서 및 서해청 방제대책본부가 설치되었고, 09:00 함정 및 헬기가 긴급 출동하였으며, 09:40 전국 방제 세력이 동원되도록 지시되었다. 10:43 시민 방제 장비 협조가 요청되었고, 16:00 태안지역 방제대책협의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매일 10:00, 17:00, 20:00 3차례 상황 보고 및 전파가 이루어졌다. 12월 8일에는 충청남도 태안 등 6곳에 재난 사태가 선포되었다.

기름 유출에 따른 피해가 커짐에 따라 정부는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취했다. 해양경찰청과 해양수산부는 실패했던 초기 대응에 대한 비판을 받았고, 이후 체계적인 방제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전국의 방제세력을 동원하여 대규모 방제작업을 펼쳤다. 또한 재난 상황에 대한 상황 보고와 전파를 체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재난 사태를 선포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보였다.


2.1.5. 간호 활동

태안 지역사회 간호활동

방제작업 - 관련 기관: 해양수산부, 해경 - 내용: 유출 기름 방제는 해군과 해경, 민간 어선 100여 척이 동원되었다. 이들은 기름처리제를 뿌리고, 오일펜스를 치는 역할을 했다. 기름 회수기도 20척이 동원되었다. 기름 회수용...


참고 자료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3849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42760&page=655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01501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1072368.html
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9324&sitePage=
http://www.chungnam.go.kr:8100/memorial/content.do?mnu_cd=MEMMENU00032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43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856588?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990701?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955186?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052853?sid=101
https://news.mt.co.kr/mtview.php?no=*************522686&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697794?sid=102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927312004
https://www.mk.co.kr/news/society/4377677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8192&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13793?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690446?sid=102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928&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928&mediaCodeNo=257&OutLnkChk=Y
튀르키예 대지진 사망자, 5만 1천 명 사망,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30406010001054 (2023. 4.12)
튀르키예 대지진, https://youtube.com/watch?v=LZ3uwfxWspA&feature=share (2023. 4.12)
https://programs.sbs.co.kr/culture/unansweredquestions/clip/55073/22000491057#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1 (2023.02.07.)
보건복지부, 튀르키예 대지진 지진 피해 성금 전달,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8&CONT_SEQ=375006 (2023. 4.13)
대한적십자사, https://www.redcross.or.kr/donation_campaign/turkeying/index.html
여성신문, (http://www.womennews.co.kr)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
질병관리본부. (2016). 메르스 대응 지침, http://cdc.go.kr
양수인. "메르스 사태를 겪은 간호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https://www.129.go.kr/news/news02_view.jsp?n=8589 보건복지부 메르스 대응 및 대책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1102080000 질병관리청 (MERS)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62 서울아산병원 중동 호흡기 증후군
https://www.gidcc.or.kr/wp-content/uploads/2016/12/%EC%A0%9C1%EA%B8%89%EA%B0%90%EC%97%BC%EB%B3%91_%EC%A4%91%EB%8F%99%ED%98%B8%ED%9D%A1%EA%B8%B0%EC%A6%9D%ED%9B%84%EA%B5%B0MERS_%EB%8C%80%EC%9D%91%EC%A7%80%EC%B9%A8.pdf 제1급감염병중동호흡기증후군[MERS]대응지침
유민이. 재난대응과정의 시민참여 메커니즘 및 참여유형 분석: 태안살리기운동(Hebei Spirit호)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1.
최연희, 이지현 외. 지역사회간호학1. 수문사; 2018. 3. 2. p41~45
국가법령정보센터 -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도11921, 판결
정일근. 태안반도에서 들었다. [Internet]. 2017.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blog.naver.com/sys11031/221120108138
지식백과. 태안 기름 유출 사고. [Internet]. 2015.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3390384&cid=42251&categoryId=58354
김상은. 사상 최악에 대 재앙사고. [Internet]. 2013.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cafe.daum.net/foreverjd/eId/923?q=%C5%C2%BE%C8%BF%F8%C0%AF%C0%AF%C3%E2%20%BB%E7%B0%ED%B0%E6%C0%A7
박희송. 농협·서울대병원, 대안 기름유출 지역 순회진료. [Internet]. 2008.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1958827
이상미, 최윤경(2017). 전략적간호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이상미, 최윤경(2017). 전략적간호관리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http://www.snuh.org
충청남도서산의료원 홈페이지, http://www.seosanmc.or.kr
의료법인 현대요양병원 홈페이지, http://www.hdcare.co.kr
신현종(2003). 병원 조직의 미션(mission)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https://dcollection.yonsei.ac.kr/public_resource/pdf/000000109331_20230409025610.pdf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