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과제 재난 사례/ 사회적 재난/ 태안기름유출 발생원인, 대처방안, 문제점, 개선점, 간호사의 역할, 관련법(A+받음)
- 최초 등록일
- 2021.01.27
- 최종 저작일
- 2020.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발생원인
2. 대처방안
3. 문제점
4. 개선점
5. 간호사로서의 역할
6. 해양오염방지법위반 · 업무상과실선박파괴 · 선원법위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태안 기름 유출 사고, 서해안 기름 유출 사고로 불리는 ‘삼성-허베이스피리트(Hebi Spirit)호’ 기름 유출 사고는 2007년 12월 7일 발생했다. 태안 앞바다에서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와 해상 크레인이 충돌해 기름이 유출된 사고로서 국내에서 가장 심각한 해양오염 사고로 기록되어 있어 사고의 원인과 대처방안, 문제점 및 대처방안 그리고 관련된 법과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1. 발생원인
2007년 12월 6일 14시 50분, 인천항을 출발한 삼성중공업의 예인선과 크레인 선은 기상악화로 인해 인천항으로 회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6시 17분 위험을 감지한 관제소는 예인선에 경고를 보냈고, 십분 후, 유조선측에도 충돌의 위험을 경고한다. 이에 유조선측은 닻을 풀고 70미터 후방으로 이동했으나, 약 20분 후, 예인선과 와이어가 끊어진 크레인 선은 표류하기 시작했고,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6분, 충남 태안군 원북면 해상에서 예인선(T-5,T-3)과 연결된 밧줄이 끊어진 채 표류하던 삼성중공업 소속 해상 크레인(14만 5천톤급)과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는 충돌했다. 총 9차례의 충돌로 인해 유조선의 옆 부분이 파손되면서 대략 10,500여 톤의 기름이 바다로 유출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사상 최대의 해양 생태계 파괴 상황이 발생했다.
2. 대처방안
1) 방제상황
선박은 충돌 이후 14분 만인 12월 7일 오전 7시 30분에 태안지방해양경찰서에서 278함과 방제 21호를 긴급 출동시킨 것을 최초로 해양경찰서에서 6,630척, 해양환경관리공단에서 889척, 해군에서 723척, 어업지도선에서 97척, 시민업체, 즉 민간업체에서 81척이 동원되었다. 기타 주민들의 어선까지 합치면 총 19,864척이 방제현장에 투입되었다.
참고 자료
유민이. 재난대응과정의 시민참여 메커니즘 및 참여유형 분석: 태안살리기운동(Hebei Spirit호)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1.
최연희, 이지현 외. 지역사회간호학1. 수문사; 2018. 3. 2. p41~45
국가법령정보센터 -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도11921, 판결
정일근. 태안반도에서 들었다. [Internet]. 2017.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blog.naver.com/sys11031/221120108138
지식백과. 태안 기름 유출 사고. [Internet]. 2015.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3390384&cid=42251&categoryId=58354
김상은. 사상 최악에 대 재앙사고. [Internet]. 2013.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cafe.daum.net/foreverjd/eId/923?q=%C5%C2%BE%C8%BF%F8%C0%AF%C0%AF%C3%E2%20%BB%E7%B0%ED%B0%E6%C0%A7
박희송. 농협·서울대병원, 대안 기름유출 지역 순회진료. [Internet]. 2008. [cited 2020 July 3]. Available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1958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