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만 예방과 치료
1.1. 비만의 정의와 원인
비만의 정의는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이다. 비만은 일차성 비만과 이차성 비만으로 나뉘는데, 일차성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 소모량보다 많아 체지방이 증가하여 발생하며, 이차성 비만은 유전, 내분비질환, 약제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일차성 비만의 주된 원인은 과도한 음식 섭취, 생활 습관의 변화, 활동량의 감소 등이다. 현대 사회에서 인스턴트 음식, 패스트푸드의 섭취 증가, 좌식 생활 증가, 자동차 이용 증가 등으로 인해 에너지 섭취가 늘어나고 신체활동이 줄어들면서 일차성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이차성 비만은 유전적 요인, 약물, 내분비계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일부 항정신성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당뇨병 치료제 등이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갑상선기능저하증, 쿠싱 증후군 등의 내분비계 질환도 이차성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단순히 과도한 에너지 섭취와 활동량 부족으로 인한 일차성 비만과 유전, 약물, 내분비계 질환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비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1.2. 비만의 문제점
비만은 건강상의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비만증에는 다양한 의학적 문제와 합병증이 포함되며, 대부분은 체중 감량으로 호전될 수 있다.
비만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정신적 장애, 호흡곤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중풍, 당뇨병, 동맥경화, 관절염, 지방간, 담석증, 상처의 치료지연, 신장질환, 변비 등이 있다. 여성에게는 월경불순, 월경과다, 월경과소, 조모증 등의 부작용이 추가로 나타난다.
특히 심각한 비만증의 경우 정신적 장애와 함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의 장애를 유발한다. 비만인 경우 정상 체중에 비해 사망률이 월등히 높은데, 25∼34세 남자의 경우 12배, 35∼44세 남자의 경우 6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비만은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질병으로, 체중 조절만 잘한다면 대부분의 합병증이 호전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1.3. 비만 예방을 위한 운동 방법
1.3.1. FITT-VP 원칙
FITT-VP 원칙은 운동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 효과적인 비만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Fre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