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도정맥류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식도정맥류 - 정의
2.2. 식도정맥류 - 원인
2.3. 식도정맥류 - 증상
2.4. 식도정맥류 - 진단
2.5. 식도정맥류 - 치료
2.6. 식도정맥류 -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및 수행
3.4. 간호평가
4. 결론
4.1. 실습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식도정맥류는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이는 문맥압이 상승함에 따라 식도 내의 정맥이 확장되어 발생하며, 출혈이 일어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 된다. 간경변증의 원인은 B형간염, C형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등 다양하며, 이에 따라 식도정맥류의 발생 원인도 달라진다. 식도정맥류 환자는 증상이 없다가 출혈이 발생하면 토혈, 출혈로 인한 빈혈 증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며, 혈액검사와 영상검사 등을 통해 간기능과 출혈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식도정맥류 출혈의 치료에는 약물요법, 내시경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간호사는 이러한 치료과정에서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해야 한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식도정맥류 관리와 출혈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2. 문헌고찰
2.1. 식도정맥류 - 정의
문맥압 상승에 의해 식도 정맥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간경변증 등으로 인해 간문맥에 혈액이 고여 문맥압이 높아질 경우 식도의 정맥 쪽으로 흐르는 혈류가 많아지면서 식도 정맥이 확장되어 크기가 증가한다. 식도정맥으로 과도한 혈액이 들어오면 식도정맥벽이 늘어나고 얇아져 정맥류가 생성되고, 이 부위에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벽이 터져 출혈이 일어난다.
2.2. 식도정맥류 - 원인
식도정맥류의 원인은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원인들과 같다. 간경변증이란 간 조직이 단단하게 굳어지고, 둥글고 단단한 재생결절이 생겨 간 조직이 울퉁불퉁해진 상태이다. 간 조직 내의 혈액이 지나가는 통로를 압박하게 되면 간 문맥에 저항성이 높아져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문맥압 항진증이라고 하며, 문맥압 항진증이 생기면 복강 내 장기를 통하는 혈액들이 간으로의 이동이 힘들게 되고 식도 등 다른 부위에 혈관이 발달되면서 간 이외의 다른 부위로 혈액이 이동된다. 그러므로 식도에 혈관이 발달되기 시작하고 문맥압 항진증이 심해지면서 식도와 위에 혈관이 커지게 되고 혈관이 파열되면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2.3. 식도정맥류 - 증상
식도정맥류 환자의 경우 출혈이 없다면 증상이 전혀 없다. 그러나 출혈이 발생하면 토혈, 갑작스러운 어지러움, 흑색변, 혈변,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출혈로 인해 혈액이 손실되면 빈혈이 발생하므로 피부가 창백해지고 혈압이 떨어져 어지러움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운이 없어지고 식은땀이 나며 약간의 활동에도 숨이 차게 된다. 이처럼 식도정맥류 환자는 출혈 시 심각한 증상들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 될 수 있다.
2.4. 식도정맥류 - 진단
식도정맥류의 진단은 문진과 신체검사, 혈액검사, 내시경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문진과 신체검사를 통해 간경변증의 증상인 황달, 복수, 하지 부종, 간성 혼수 등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식도정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없다고 해서 식도정맥류가 없는 것은 아니므로 간경변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반드시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맥류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신체검사에서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떨어지는 소견이 나타난다.
혈액검사만으로는 정맥류를 직접 진단할 수 없지만, 황달 수치의 증가, 알부민 수치 감소, 혈소판 감소, 혈액 응고 시간의 증가 등 진행된 간경변증에 합당한 소견이 있으면 정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정맥류 출혈이 있으면 출혈로 인해 혈색소가 감소하는 빈혈을 보이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량 출혈로 인해 간 기능의 급성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내시경 검사는 정맥류를 진단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정맥류의 위치, 크기, 색...
참고 자료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박은영 외, 20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 2020, 학지사메디컬
최순희 외 (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식도 및 위정맥류의 예방과 치료, 장재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소화기연구소
위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과 치료, 정승원 외 9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 5개
내시경적 식도 및 위정맥류 치료법, 이태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 이창형,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for nurse review book
NANDA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