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부무력증 사례 보고서 (간호진단 4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자궁경부무력증의 정의와 원인
1.3.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과 합병증
2. 본론
2.1.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
2.2. 자궁경부무력증의 비수술적 치료
2.3. 자궁경부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2.4. 자궁경부무력증 환자의 간호
2.4.1. 간호사정
2.4.2. 간호진단 및 계획
2.4.3. 간호중재
2.4.4. 간호평가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자궁경부무력증 관리에서 간호의 역할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궁경부무력증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자궁경부무력증은 전체 임신의 2%에서 발생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자궁경부 무력증은 자궁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중기나 말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자궁경관 무력증의 발생 빈도는 유산의 1/100, 습관성 유산의 1/5로 추정되어 유산의 주요 원인들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산과 유산의 위험이 큰 자궁경부 무력증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맞는 간호문제를 발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방법들을 모색하여 실무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궁경부무력증 환자에게 좀 더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2. 자궁경부무력증의 정의와 원인
자궁경부무력증은 자궁경관의 구조적·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중기나 말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자궁경부의 선천적 이상, 자궁경부가 손상받은 경우, 호르몬의 영향, 생리적 원인 등 자궁경부를 약화시키는 모든 상황이 자궁경부무력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경부의 많은 근육성분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궁경관 및 자궁내구의 선천적인 무력증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자궁경부원추 절제술, 인공 유산, 임신 중반기 임신 중절, 소파 수술이나 biopsy 등으로 인하여 자궁경부가 손상받은 경우에도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 어머니의 임신 중 diethylstilbestrol 복용, 쌍태임신과 같이 자궁이 정상 단태임신에서 보다 클 경우 등의 생리적 원인도 자궁경부무력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과 합병증
자궁경부무력증은 임신 중기나 말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질환이다. 외부적으로 특별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드물지만 일부 증상이 관찰될 수 있다. 자궁경부무력증 환자는 아래로 빠질 듯한 질이나 골반의 압박감 및 짧고 간헐적인 진통, 요통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자궁경부의 개대로 양막이 밀려나오거나 양막 파수가 되면서 축축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질출혈과 점액질 같은 질 분비물이 많이 배출되기도 한다.
자궁경부무력증의 주요 합병증은 조기진통과 유산이다. 환자는 생리 때처럼 배가 뭉치는 느낌, 골반이 눌리고 처지는 느낌, 아래쪽 허리 통증 등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점액성 냉이 및 혈액 비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부분은 출혈로 시작되며 몇 시간 또는 며칠 후 복통이 뒤따르게 된다. 임신 초기에 아무런 증상 없이 산부인과 초음파를 통해 태아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자궁경부무력증은 심각한 조기진통과 유산의 위험을 동반하므로,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정상적인 임신과 분만을 위해서는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과 합병증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관리가 요구된다.
2. 본론
2.1.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
자궁경부무력증은 임신 중 태아와 양막이 자궁 내에 정상적으로...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0년).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p.202~208
여성건강간호학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저, 수문사(2018)
성인간호학1,2, 윤은자 외, 수문사(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