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타 아동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문헌고찰
2.1. 진단명: Rotavirus Gastroenteritis
2.2. 원인 또는 유발요인
2.3. 감염 경로
2.4. 증 상
2.5. 진 단
2.6. 치 료
2.7. 간 호
2.8. 예방법
3. 환자사례
4. 간호과정
4.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4.2. 설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사정
4.3. 잦은 배변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사정
5. 결 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로타바이러스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장염으로, 로타바이러스 장염 또는 가성 소아 콜레라라고 한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세계적으로 사시사철 어느 계절에도 유행될 수 있으나 춥고 건조한 늦가을에서 겨울 사이에 2~3세 영유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환자의 대변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주로 전염되고, 환자가 숨 쉴 때 나온 비말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질병 초기에는 토하거나 열이 나서 감기로 오해하기 쉬워 해열제 등을 먹여 열을 내리려 하거나, 약국에서 감기약만 지어와 먹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른과 달리 영유아의 질병은 짐작만으로 알아채기 쉽지 않다. 그리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심한 경우 탈수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영유아들에게 생길 수 있는 장염들 중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가장 흔하며, 전염성이 강해 아동에게는 치명적이다. 예방을 위한 백신이 출시되었지만, 접종시기를 놓쳤거나 하지 않은 영유아들을 중심으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늦가을부터 시작해 1월과 2월에 감염지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초봄인 2월~3월까지 극성을 부리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O병원에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진단받아 입원 중인 대상자를 관찰하고, 로타바이러스의 병태생리, 원인, 진단, 치료와 간호를 연구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진단명: Rotavirus Gastroenteritis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은 세계적으로 사시사철 어느 계절에도 유행될 수 있는 질병이다. 로타바이러스는 Reoviridae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A~F군까지 있으며 이 중 인간에서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은 주로 A군이다.
로타바이러스는 대변-구강 전파가 주요 경로이지만, 호흡기계에도 바이러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비물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다. 감염 후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증상이 없어진 후 10일까지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어, 증상이 없더라도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 시 잠복기를 거쳐 중등도의 발열과 구토로 증상이 시작되며, 이어서 수양성 설사가 시작된다. 구토와 발열은 2일째에 호전되나 설사는 흔히 5~7일간 지속되며, 변에 혈액이나 적혈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진단을 위해 대변검사를 실시하는데,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출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불균형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도 시행한다. 치료는 탈수 예방과 수분 및 전해질 보충에 초점을 맞추며, 경구 또는 정맥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항생제나 지사제는 권장되지 않는다.
간호에서는 수액요법, 경구 수분 공급, 회음부 피부관리, 격리, 손위생 등을 시행하여 탈수 예방과 감염 전파 방지에 중점을 둔다. 또한 임상증상 모니터링과 검사 결과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파악한다.
예방을 위해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권장되며, 접종 대상자는 만 5세 미만의 영유아이다.
2.2. 원인 또는 유발요인
로타 바이러스는 다양한 병원균에 의해 생기는 위장염 중에서도 전 세계 아동들에게 설사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공통된 원인이다.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염은 다른 병인에 의한 위장염보다 가장...
참고 자료
김희순 외(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수문사
김희순 외(2023),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김영희 외 공저(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4년
킴스 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
문경대학교 2016학년도 임상실습지침서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5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 (http://www.riss.kr/index.do) -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연구, 박민경외 2005년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 상,하 수문사, 2013년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년
조결자 외 3명(공저),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2000년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A-GM80&searchKeyword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LASI40&searchKeyword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TENO25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ENAP10&searchKeyword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DICH25&searchKeyword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2018). 현문사. 294-300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2018). 현문사. 371-372
희귀질환정보. 이중출구우심실. http://helpline.kdca.go.kr
서울대학교 건강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