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무직 일반상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무직 일반상식
1.1. 사회복지 행정가의 관리 행동
1.1.1. 사회복지행정직의 자질
1.1.2. 사회복지행정직의 충원방법
1.1.3. 사회복지행정직의 업적평가
2. 나의 미래 직업 탐색
2.1. 내가 원하는 직업
2.1.1. 일반직 공무원
2.1.2. 공기업 직원
2.2. 대학 4년동안 취업 전략
3. 경찰 직업윤리 재고방안에 관한 연구
3.1. 공직자의 직업윤리
3.2. 경찰 직업윤리
3.3. 경찰 직업윤리 재고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무직 일반상식
1.1. 사회복지 행정가의 관리 행동
1.1.1. 사회복지행정직의 자질
사회복지행정직은 일반행정가(generalist)를 제외한 사회복지행정관 및 사회사업 기타 서비스전달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복지행정직은 그 특성으로 인해 인사행정관리상 일반행정직에 적용되는 일반논리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사회복지행정직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및 기술에 있어 무엇보다 사회복지행정론과 사회복지행정에 관련된 주변인접학문(사회사업학, 사회심리학, 복지정책론, 행정이론, 사회보장론 등)의 이수 및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행정직에 요구되는 가치관 내지 인품(Personality)에 있어서는 감정·정서가 풍부하고 사회정의감, 의협심이 강하며 사회복지이념이 투철할 것이 요구된다.
사회복지행정직에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가치관 및 인품, 전문지식, 기술 등의 자질은 유능한 자질을 가진 인원을 선발하여 충원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과학적 기준에 의한 측정방법의 고안이 사회사업학, 심리학, 기타 관련 학자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베렌가튼(Sidney Berengarten)은 사회사업가나 사회사업교육기관의 학생선발 기준으로 지성, 생활철학, 현실감각, 동기부여, 성장변화능력, 대인관계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사회사업가협회(NASW)는 사회복지행정직에 요구되는 자질로 현실적 인 사고와 계획, 실현 가능하게 하는 능력, 대안고려능력, 결정을 평가·예측할 수 있는 능력, 우선순위 결정능력, 의사결정력, 다중역할 수행능력, 균형감각, 관료조직이론 이해 및 활용능력, 생산적 업무수행능력, 권한위임 및 활용, 의사소통능력, 결단력 등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행정직은 일반행정직에 비해 보다 전문성과 고객지향성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어 이를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지식, 기술, 가치관, 인품 등 유능한 자질을 갖춘 사람을 과학적 기준에 따라 충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1.1.2. 사회복지행정직의 충원방법
우리나라의 국가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법은 공무원 임용의 원칙으로 실적주의제도(merit system)를 채택하고 있다. 실적주의제도란 공무원의 채용을 오직 자격(qualifications) 및 능력(abilities)과 업적(Performances)에 의해 하는 방법이다. 사회복지행정직은 일반행정직에 비해 전문성과 고객지향성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어 이러한 속성은 정치적 중립성을 요구하므로, 능력과 업적에 의한 실적주의 인사행정이 요구된다.
엽관제(spoils system)는 정치적 성분이나 충성을 중요시하지만, 실적제는 전문성, 고객지향성, 정치적 중립성을 전제로 한다. 사회복지행정직의 경우 다수 하층계급의 이익대변이 가능한 사람들이 임용될 수 있도록 '수정실적제(modified merit system)'의 적용이 요구된다. 엄격한 실적제를 적용한다면 하층계급의 공직 참여 기회가 극히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정실적제는 능력과 업적에 더해 특별한 배려(Preferences)를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국가유공자나 사회적 약자의 공직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가산점 부여, 신...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3_2490 (2021.12.04.)
박형식,“경찰의 핵심가치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제14권 제3호 (2014.05)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8727 (2019.05.2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28036&ref=A (2021.11.18.)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1846625930952&mediaCodeNo=257 (2020.10.08.)
https://www.ytn.co.kr/_ln/0101_201609280848177761 (2016.09.28.)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181821#0000 (2016.09.23)
https://www.police.go.kr/www/open/publice/publice02.jsp (경찰 계급별 인력구성, 2021.12.04.)
https://public.jinhakapply.com/policev2/public/public_3.aspx (최종합격,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