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신질환자의 권리
2.1. 비밀 보장의 권리
2.2. 최소한의 제약하에서 치료받을 권리
2.3. 억제
2.4. 격리
3. 간호사의 윤리적의무
3.1. 자아인식의 의무
3.2. 윤리적 의사결정
4. 윤리적 딜레마
4.1. 억제대 적용 상황
4.2. 강제입원 상황
4.3. 개인정보 공개 범위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
5. 간호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와 해결 방안
5.1.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의료적 판단 간의 갈등
5.2.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
5.3.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와 번아웃으로 인한 윤리적 문제
5.4. 임종 환자와 연명치료 관련 윤리적 문제
5.5. 환자와 의료진 간의 폭력 문제
6. 결론
6.1. 간호법과 간호윤리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윤리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윤리이며, 돕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이다. 간호윤리는 간호사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들은 다양한 윤리적 문제와 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며, 간호윤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가 윤리적 가치관에 따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1972년 5월 12일 국제 간호사의 날에 공포된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사의 윤리선언과 윤리강령의 기본정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마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안녕 증진, 인권 신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간호사는 자신과 대상자 간에서뿐만 아니라 협동자와의 관계에서도 윤리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 중 간호업무의 공평한 분배와 관련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현재 간호계의 주요 이슈인 간호법과 관련지어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정신질환자의 권리
2.1. 비밀 보장의 권리
정신질환자의 개인정보는 보호되어야 하고 처벌될 수 있다. 대상자 개인의 정보는 문서나 파일, 이야기하는 것 등 어떤 형태로도 노출되는 것을 금하고 있고, 필요시 대상자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여기엔 예외상황이 있다. 환자에게 위협받는 제3자가 있을 경우이다. 이 때에는 미리 경고하도록 의무사항이 있다.
2.2. 최소한의 제약하에서 치료받을 권리
최소한의 제약하에서 치료받을 권리이다. 정신질환자는 최소한의 제약하에서 치료받을 권리가 있다. 억제나 격리의 사용은 치료적 지표가 있어야하고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한다. 정신질환자가 정신과적 증상으로 인하여 공격행동이 예상되고 자해나 타해 위험성이 있을 경우에는 약물로서 진정시키거나 억제대 적용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정을 할 때 환자의 모든 결정권은 무시가 되고 있고 억제대 적용기준 또한 모호한 경우가 많아서 정신과 간호사들에게는 감정적인 불편감을 초래하고 있고 환자에게는 신체적 손상까지 발생하게 됨으로써 윤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2.3. 억제
억제는 신체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다. 인간적 억제는 대상자를 힘으로 통제해 격리실로 옮기는 것이고, 기계적 억제는 발목이나 팔목을 억제하는 기구를 통해 침대에 묶어 놓는 것이다. 정신질환자가 정신과적 증상으로 인하여 공격행동이 예상되고 자해나 타해 위험성이 있을 경우에는 약물로서 진정시키거나 억제대 적용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정을 할 때 환자의 모든 결정권은 무시가 되고 있고 억제대 적용기준 또한 모호한 경우가 많아서 정신과 간호사들에게는 감정적인 불편감을 초래하고 있고 환자에게는 신체적 손상까지 발생하게 됨으로써 윤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정신과 간호사들은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질문을 했을 때 가장 먼저 억제대 적용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그 이유도 '비인간적'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였다. 이는 정신과 간호사들이 억제대 적용에 대해 윤리적 문제를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4. 격리
격리는 특별히 고안되어 안전하고, 창문이나 카메라를 통해 관찰가능한 방에 강제로 감금하는 것이다. 격리의 목적은 환자에게 신체적, 감정적 자아통제를 재획득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격리 시에는 격리시간을 줄일 수 있는 행동기준을 환자에게 알려줘야 하는데, 그러한 행동기준은 감정을 합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거나 언어적 위협을 하지 않고, 근육의 긴장을 줄이고 자아통제를 보여주면 격리나 억제를 끝낼 수 있다.
3. 간호사의 윤리적의무
3.1. 자아인식의 의무
모든 간호사는 옳고 그름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관에 위배되더라도 환자의 권리를 옹...
참고 자료
정명실, 임경춘, 고자인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3호 , 2017.8 , 309-318 (10 pages)
임숙빈 등 (2018),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박정화, 2003년, 『정신과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적 갈등상황』,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희정, 2016, "정신보건간호사가 지역사회 정신간호 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문제",『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25 No. 4, 418-429, December 2016
“초등생에 칼 휘둘러도...정신질환자 관리 못하는 정신건강복지법, 중앙일보, 2019년 1월 4일
김인경, 문숙자 외 3명 저, 간호학개론, JMK, 2025
김중경, 김숙희 외 3명 저, 간호학개론, 한올출판사, 2025
신미자, 김지미 외 3명 저, 간호학개론, 수문사, 2024
김문실, 김숙영 외 2명 저, 간호학개론, kms(고문사), 2024
정면숙 외 간호학개론 제 5판 현문사
박영수, 오의금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행위’
"Case Study of Ethical Dilemma in Nursing." nursinganswers.net. 11 2018. All Answers Ltd. 04 2022
Van Bogaert P, Kowalski C, Weeks SM, Van Heusden D, Clarke SP.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nurse work characteristics, burnout and job outcome and quality of nursing care: A cross-sectional survey. Int J Nurs Stud. 2013;50(12):1667-77.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 http://www.koreanurse.or.kr/ )
김의숙 외 간호법안
의료법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