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1.1. 관찰기록 개요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은 영유아의 행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발달 상황을 이해하고 교사의 적절한 개입을 모색할 수 있다. 관찰기록에는 관찰 상황, 영유아의 행동, 교사의 반응, 관찰자의 해석 및 평가가 포함된다. 이러한 관찰기록은 영유아 교육과 발달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1.2.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1
맞벌이하는 부모님과 함께 아침 일찍 등원하는 박00이라는 친구가 오늘따라 기분이 안 좋았는지 아빠와 헤어지고 교실에 들어서자마자 울었다. 평소에는 말도 잘하는 친구인데 오늘따라 우는 박00이라는 친구에게 선생님께서 왜 우냐고 물으셨고, 친구는 아무 대답없이 울고만 있었다. 친구들도 걱정이 되는지 울고 있는 박00이라는 친구에게 다가가 이유를 물어도 대답이 없었다. 그러자 선생님께서는 다른 친구들에게 자유롭게 각자 놀고 있으라고 말씀하셨고, 다른 친구들이 자리를 떠나자 울고 있는 친구를 품에 안아주시며 친구의 애착 인형을 꺼내주시더니 말없이 토닥여주셨다. 한참을 그렇게 시간을 보내자 박00이라는 친구는 스스로 진정이 되었는지 다른 친구들의 놀이에 관심을 보이며 다가가서 함께 놀이를 시작했다.
아무리 성격이 좋은 친구라도 때로는 기분이 나쁜 상황이 있을 수 있으며, 때로는 말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교사는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친구들에게 관심 받는 상황이 싫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교사는 그럴 때 혼자만의 시간을 주고 스스로 자기의 감정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인내가 필요할 것 같다.
1.3.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2
김00이라는 친구가 글씨 쓰는 것을 잘못했다고 지적한 엄00이라는 친구에게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여 상황을 조절하였다.
엄00이라는 친구는 자신이 가진 한글 실력을 앞세워 김00의 글씨 쓰기를 지적하였다. 이에 김00은 의기소침해져서 힘이 없어진다. 이를 관찰한 교사는 김00의 등을 토닥여주며 김00이 잘 썼다고 칭찬해준 후, 지적하던 엄00이라는 친구에게도 잘못한 것을 지적하는 것보다 잘한 것을 칭찬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해주었다.
이를 통해 아이들도 자신이 아는 것을 자랑하거나 친구의 잘못을 용납하지 못하고 지적하려는 모습이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여 두 친구 모두에게 교육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교사는 상황을 이해하고 친구들의 마음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입을 통해 상호작용을 조절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1.4.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3
갑자기 이00이라는 친구가 훌쩍훌쩍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선생님께서 이00에게 다가가 왜 우는지 이유를 물으셨지만 아무런 대답 없이 울기만 했다. 그러자 선생님께서는 "하기 싫어?"라고 물으셨고, 이00는 고개만 끄떡끄떡한다. 선생님께서는 "친구들은 재미있게 하고 있는데 이00도 한번 해봐~ 이0아가 하고 싶은대로 하면 돼~" 라고 물으셨지만 반응이 없자 "그럼 친구들 하는 거 보다가 하고 싶을 때 해~" 라고 말씀하시며 다른 친구들이 활동하는 것을 도와주셨다. 이00는 친구들이 하는 걸 지켜보고 있었다.
선생님이 준비한 수업이라고 해서 모든 친구들이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히 하기 싫어할 수도 있고 재미없어 할 수도 있다. 선생님이 준비하며 기대했던 것만큼의 반응이 없다고 해서 실망하거나 친구들에게 활동을 강요하기보다는 친구들의 선택과 선호도를 이해하고 존중해주는 교사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
1.5.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4
갑작스럽게 울음을 터뜨린 박00이라는 친구에게 교사는 언어적으로 기분이나 이유를 물어보았지만 대답이 없었다. 그러자 교사는 다른 친구들에게 자유롭게 놀도록 한 뒤, 울고 있는 박00이라는 친구를 직접 품에 안아주며 토닥여주었다. 이처럼 교사는 아이의 행동을 지켜보며 적절한 상호작용을 제공하였다.
아동의 기분이나 감정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교사는 인내심을 갖고 아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언어적 상호작용과 함께 신체적 접촉을 통해 아이를 안심시켰다. 이를 통해 박00이라는 친구는 스스로 진정되어 다른 친구들과 함께 놀이에 참여할 수 있었다.
1.6.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관찰기록 5
오늘따라 유난히 좋아하는 주사위놀이를 하고 있는 서00, 엄00, 김00, 박00 네 명의 친구가 동그라미를 지어 앉아 있다. 서00가 주사위를 던질 차례가 되어 주사위를 던졌는데, 서00는 '6'이 나왔다고 말하지만 엄00은 '5'가 나왔다고 주장한다. 두 친구가 서로 자기 말이 맞다고 고집을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