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음 문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강의 교안(초급)을 작성하세요. 1) 초급 문법(1급,2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세종학당의 개요
1.2. 「세종한국어」 교재 개발 목적
1.3.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에 대한 분석 필요성
2. 본론
2.1. 세종학당의 교육과정
2.2. 「세종한국어2」의 교수요목
2.2.1. 교육시간 및 교육 내용 구성
2.2.2. 단원 구성표
3. 결론
3.1. 체계적인 교육과정 기반의 「세종한국어」 교재
3.2.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3.3. 향후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개선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세종학당의 개요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보급사업을 총괄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다.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에 세종학당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 3명 중 1명은 세종학당을 알고 있으며, 40만 외국인이 선택한 「세종한국어」 앱은 중·고급자용이 개발되어 시사 어휘, 문법, 회화, 발음 등의 영역별 학습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 1만 명은 온라인 세종학당으로 한국어 학습을 이어가고 있다. 이렇게 이미 많은 외국인들의 신뢰 속에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배우는데 검증된 정부 부처 산하의 세종학당은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말하기 중심으로 어휘화 표현 등이 구성된 「세종한국어」라는 교재를 개발하였다.
1.2. 「세종한국어」 교재 개발 목적
「세종한국어」 교재 개발 목적은 세종학당에서 공부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을 고르게 향상시키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세종학당은 국어기본법 제 19조의 2에 근거하여 설립된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화 보급 사업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이다. 현재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에 세종학당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40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세종한국어」 앱을 활용하여 한국어와 문화를 배우고 있다. 이처럼 세종학당의 「세종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3.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에 대한 분석 필요성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에 대한 분석 필요성이다. 교육과정은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계획을 의미한다. 또한 교수요목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나타낸다.
세종학당 재단에서 개발한 「세종한국어」 교재의 경우,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세종한국어」 교재의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교재 개발 및 교육 과정 운영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한국어」 교재는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에 대한 분석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
참고 자료
세종학당 재단소개 : 국어기본법 제 19조의 2에 근거, 세계 곳곳 세종학당 내용 참고
세종학당재단 새소식 : 제 48호(2017년 8월), 제 71호(2019년 5월), 제 88호(2020년 10월)
세종한국어 1,2 활용안내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633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17052#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