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관상동맥의 해부학
1.1. 관상동맥의 정의
관상동맥이란 대동맥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다. 관상동맥은 심장 전체를 둘러싸며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1.2. 관상동맥의 구조
관상동맥은 대동맥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다. 관상동맥은 좌측관상동맥(LCA)과 우측관상동맥(RCA)의 두 갈래로 나뉜다. 좌측관상동맥은 다시 좌측주관상동맥(LM), 좌전하행동맥(LAD), 좌회선동맥(LCx)으로 구분된다. 좌전하행동맥은 심실중격과 좌심실전벽, 좌심실측벽의 혈액공급을 담당하며, 좌회선동맥은 좌심실의 측벽과 하벽의 혈액공급을 담당한다. 우측관상동맥은 우심실과 심실중격의 혈액공급,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에 혈액을 공급한다. 관상동맥에는 대각선으로 뻗어나가는 가지들(Diagonal branches)과 예각으로 뻗어나가는 가지들(Obtuse marginal arteries)이 있으며 이는 주요 관상동맥의 가지혈관 역할을 한다.
1.3. 관상동맥의 혈액공급 기능
관상동맥은 대동맥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한다. 좌측관상동맥(LCA)은 두 갈래로 나뉘어 좌전하행동맥(LAD)과 좌회선동맥(LCx)으로 구성되며, 우측관상동맥(RCA)도 심장 전체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우측관상동맥은 우심실과 심실중격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동방결절(SA node)과 방실결절(AV node)에도 혈액을 공급한다. 좌전하행동맥은 심실중격과 좌심실 전벽, 좌심실 측벽의 혈액 공급을 책임지며, 좌회선동맥은 좌심실의 측벽과 하벽 혈액 공급을 담당한다. 이처럼 관상동맥은 심장 전체에 혈액을 공급하여 심장근육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관상동맥질환
2.1. 정의 및 종류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협착으로 혈류 공급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포함된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좁아져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해당 부위의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는 상태로, 30분 이상 지속되는 흉통과 식은땀, 전신무력감이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