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색전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폐색전증의 정의 및 원인
3. 폐색전증의 병태생리
4. 폐색전증의 증상
5. 폐색전증의 진단
6. 폐색전증의 치료
7. 폐색전증의 간호
8. 간호사정
9. 간호진단
9.1.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9.2. 배뇨 양상의 변화와 관련된 배뇨장애
9.3. 항응고제 치료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10. 간호과정
10.1.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10.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11. 결론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폐색전증은 병의 원인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고 진단법과 치료법 또한 급속히 발달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까다로운 질환이다. 지난 20년 동안 폐색전증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진단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약 50% 정도로 여전히 높은 편이다. 다른 합병증이 없는 폐색전증은 빨리 진단해서 항응고제 등의 적절한 치료가 이뤄진다면 치명적인 폐색전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실습을 통해 폐색전증에 대해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하고, 질병의 병태생리 및 치료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중재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2. 폐색전증의 정의 및 원인
폐에는 우심실에서 나오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으며,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교환을 하고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다리에 위치한 깊은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생기고 이것이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의 혈관으로 이동하여 폐의 혈관을 막은 상태를 폐색전증이라 한다.
폐색전증의 원인은 수술, 질병에 따른 입원으로 오랫동안 누워있어야 하는 경우, 수술로 인해 혈류가 느려지거나 정체되는 경우, 장거리 여행 시 좁은 좌석에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경우, 여성의 분만이나 경구용 피임제 복용, 유전적으로 혈액 응고기능이 지나치게 활발한 경우 등이다. 심부정맥혈전증의 혈괴가 하지에서 떨어져 나와 초래된 폐색전증이 가장 큰 원인이다.
3. 폐색전증의 병태생리
폐동맥의 광범위한 폐색으로 인하여 혈류를 거의 받을 수 없게 되면 폐포의 사강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많은 혈관 활동성 물질과 기관지 수축 물질이 응괴에서 유리되어 호흡과 혈액 관류의 불균형을 야기한다. 이러한 결과로 폐혈관의 크기가 감소하여 폐혈관 저항이 증가한다. 그에 따라 폐동맥압이 상승하고 이를 위해 우심실의 일이 증가하게 된다. 우심실의 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우심부전이 발생하고 심박출량이 감소하며 혈압이 떨어져 쇼크 상태에 이르게 된다.
폐색전증의 주요 발생 요인으로는 첫째, 혈전이나 폐색전증의 과거력이다. 폐색전증을 치료하지 않은 경우 재발률이 높고, 적절한 항응고 요법을 시행한 경우에도 약 8%의 환자에서 재발한다. 둘째, 장기간의 고정(움직임 제한)이다. 정맥혈류의 정체를 통해 혈전증이 발생하며, 고정 기간이 길수록 위험성이 증가한다. 셋째, 심질환으로 인한 정맥혈류 정체와 혈전 형성, 넷째, 악성종양에서 유래한 화학 물질로 인한 응고성 증가와 섬유소 용해능력 저하, 다섯째, 수술로 인한 정맥 내 혈전증, 마지막으로 임신 시 골반 내 정맥 압박과 복강내압 상승으로 인한 정맥혈류 정체와 응고인자 증가 등이 있다.
이러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 인하여 폐색전증 환자에서 호흡곤란, 빈호흡, 기침, 흉통, 객혈, 저혈압, 쇼크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4. 폐색전증의 증상
폐색전증의 증상은 폐동맥 폐쇄 정도, 위치 및 혈관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다.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객혈, 흉통이다. 갑작스럽게 시작된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빠른 호흡이 가장 흔한 징후이다. 증상을 보이는 대상자는 20%이하로 대부분 무증상이며 흉통, 흉벽의 압통, 마찰음 또는 급성 폐성심으로 인한 저혈압, 청색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신체검진에서 젊고 건강했던 대상자는 대량의 폐색전증이 있어도 단지 불안해 보이기만 할 수 있으며 운동 시에만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주의가 필요하다. 심하면 빠른호흡, 때로는 서맥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거품소리, 발열, 식은땀, 심잡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복장뼈아래 통증, 쇼크, 의식상실이 발생하고 사망할 수 있다.
5. 폐색전증의 진단
흉부 X선 검사는 혈관의 폐쇄로 인한 혈류 감소 소견이 나타나기도 하고 폐 중심부의 폐동맥이 더욱 뚜렷이 보이기도 한다. 쐐기 모양의 폐 침윤은 폐경색을 나타낸다. 또한, 무기폐 및 그로 인한 한쪽 횡격막의 상승이 보이기도 하고, 흉수가 관찰될 수도 있다. 폐 혈관 조영술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지만 작은 구역 기관지 폐색전증 시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다른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확진이 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동맥혈 가스 분석과 맥박산소계측기로는 폐색전증 환자의 25%까지 PaO2 80mmHg 이상을 보인다. 환기-관류 스캔은 관류 스캔에서 혈액이 통과하지 않는 부분이 사진에 나타나거나 환기 스캔에서 정상 환기 소견을 보이면서 관류 장애를 일으킬 때 폐색전증을 의미한다. 심장 초음파는 혈전이 심장이나 폐동맥 내에서 직접 관찰...
참고 자료
KS병원 EMR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 7판」, 2019, 현문사
김문옥, 노영희, 서미라, 박서진 공저 성인간호학실습2(학생용) 임상실습지침서, 2021, 도서출판 지성계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통증사정도구 사진 출처, https://woundeducators.com/use-of-pain-rating-scales-in-wound-management/
성미혜(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수문사, p.146
김종임(2018),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p.275
김종임(2018),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p.3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516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김영희(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pp.226-231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명화, 손덕옥(2020),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594-696
강유나 외 23명(2015), 『알기쉽게 간추린 병리학』, JMK, p.421
박병준, 박표원, 심영목, 이영탁, 박계현, 김진국, 김욱성, 성기익, 「폐색전증의 수술적 치료」, 『대한흉부외과학회지』 (42권 4호, 2009), pp.492-496
박성규, 「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대한내과학회지』 (78권 5호, 2010), pp.531-539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전혈구 (CBC) 검사 해석", 2020.01.10., , (2021.03.06.)
대한진단검사의학회, "aPTT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2017.12.03., , (20.03.06.)
서울아산병원, "전혈구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 (2021.03.06.)
가톨릭혈액병원, "혈액검사", , (2021.03.06.)
약학정보원, "라식스정", 2004.12.22, , (2021.03.06.)
약학정보원, "쿠파린정", 2006.05.09, , (2021.03.06.)
약학정보원, "알닥톤필름코팅정", 2005.01.06, , (2021.03.06.)
약학정보원, "크렉산주", 2006.04.20, , (2021.03.06.)
약학정보원, "프레조폴엠시티1%주", 2011.03.10, , (2021.03.06.)
약학정보원, "에스메론주", 2009.04.30, , (2021.03.06.)
약학정보원, "제일에피네프린주사액", 1984.11.14, , (2021.03.06.)
약학정보원, "유한2%염산리도카인에피네프린주사", 1981.03.30, , (2021.03.06.)
약학정보원, "국제세파졸린주", 1992.09.18, , (2021.03.06.)
약학정보원, "대원염산페치딘주사액", 1974.11.27, , (2021.03.06.)
약학정보원, "에스케이알부민5%주", 1970.10.29, , (2021.03.06.)
약학정보원, "대한디만니톨주사액", 1971.09.14, , (2021.03.06.)
약학정보원, "트롤락정", 1995.08.30, , (2021.03.06.)
약학정보원, "헤파린나트륨주", 1989.03.22, , (2021.03.06.)
약학정보원, "하나도부타민염산염주사", 1997.02.26, , (2021.03.06.)
약학정보원, "프리마코주", 2006.04.20, , (2021.03.06.)
약학정보원, "동광염산암브록솔정", 1990.07.13, , (2021.03.06.)
약학정보원, "도파민주", 1992.01.09, , (2021.03.06.)
약학정보원, "보령뮤코미스트액", 1987.03.18, , (2021.03.06.)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2 9판 개정』, 수문사, 2021, p.897-900
최명애 외 공저, 『병태생리학 6판 개정』, 계축문화사, 2019, p.
강현숙 외 공저, 『기본간호학1 4판 개정』, 수문사, 2014,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