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학습장애의 정의
1.1.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의 정의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의 정의에 따르면, 특정학습장애란 듣기, 사고하기,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 혹은 산수 셈하기에서 능력상의 결함으로 나타나는,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기본적인 심리과정들의 하나 혹은 그 이상에서의 장애를 지칭한다. 이 용어는 지각장애, 뇌손상, 미세뇌기능장애, 난독증, 그리고 발달상의 실어증 등의 상태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시각, 청각, 운동장애, 정신지체, 행동/정서장애, 또는 환경적, 문화적, 사회경제적인 불리함에서 초래된 결과가 일차적으로 작용함으로 인해 학습상의 어려옴을 갖는 개인들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미국 장애인교육법의 정의에 따르면 특정한 기본 심리과정의 결함으로 인한 학습장애를 의미하며, 다른 원인으로 인한 학습 어려움은 학습장애로 간주하지 않는다.
이러한 미국 장애인교육법의 정의는 학습장애의 원인을 기본 심리과정의 장애로 한정하고 있으며, 지각장애, 뇌손상, 난독증 등의 특정 상태만을 학습장애로 인정한다. 또한 중복장애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학습 어려움은 배제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 학습장애협의회의 정의와 우리나라의 정의는 학습장애의 원인과 범위, 그리고 중복장애 가능성 등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1.2. 미국 학습장애협의회(NJCLD)의 정의
미국 학습장애협의회(NJCLD)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리, 혹 을 산수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현저한 어려움이 나타나는 이질적인 장애집단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들 장애들은 그 개인에게 내재된 것으로, 중추신경계동의 기능장애에 의한 것 으로 가정되며, 일생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자기조정행동, 사회적 지각, 그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문제점들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것들만으로 학습장애가 성립되지는 않는다. 학습장애는 다른 장애상태들(예를 들면, 감각적 손상, 정신지체, 그러고 사회적 행동/정서장애)혹은 환경적인 영향들(예를 들면, 문화적 차이, 불충분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교수, 그리고 심인성 요인들)확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나, 그러한 상해나 영향들의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 이처럼 미국 학습장애협의회의 정의는 학습장애를 이질적인 장애집단으로 보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또한 학습장애에 사회성과 관련된 문제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학습장애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나 환경적 요인과 함께 나타날 수 있지만, 그것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님을 명시하고 있다.
1.3. 우리나라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정의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인해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기억, 문제해결 등의 학습기능이나 읽기, 쓰기, 수학 등의 학업성취 영역에서 현저한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 정의에서는 학습장애의 원인을 개인 내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학습장애 문제영역을 학습기능과 특정 학습영역에서의 성취문제로 명시하고 있으며, 준거는 미국 학습장애협의회 정의와 유사하다. 그러나 배제조건이 학습장애의 주요 판별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이 정의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1.4. 한국특수교육학회의 정의
학습장애는 개인 내적 원인으로 인해 일생동안 발달적 학습(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기억, 문제해결 등)이나 학업적 학습(읽기, 쓰기, 수학 등) 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이 장애에는 다른 장애조건(감각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등)이나 환경실조(문화적 요인, 경제적 요인, 교수적 요인 등)와 함께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조건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나타난 것은 아니다. 즉, 학습장애는 개인 내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발달적 혹은 학업적 학습에 현저한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장애는 생애에 걸쳐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2. 학습장애의 원인
2.1. 신경학적 요인
읽기 장애를 지닌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에는 두뇌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가 있다. 중추신경체계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학습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뇌의 구조와 기능에 있어서 나타나는 차이가 학습장애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학습장애는 필연적으로 신경학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신경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특정 기술 습득에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신경학적 요인으로 인한 학습장애는 대부분 교정하거나 치료하기 어려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