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총신대
총신대는 한국에 위치한 개신교 신학교로, 주요 교육 분야는 신학과 기독교 교육이다. 총신대는 1911년 시작된 역사를 갖고 있으며,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대학교이다. 학부과정에서는 신학, 기독교교육학, 선교학 등을 전공할 수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신학, 기독교상담학, 기독교교육학, 선교학 등의 학위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총신대는 한국 신학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목회자와 기독교 교육자를 배출해왔다. 또한 총신대는 개혁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건전한 기독교 신앙과 윤리관을 가진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철학, 신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총신대는 한국 개신교 신학교육의 중심축을 이루며, 기독교 지도자 양성에 크게 기여해왔다고 할 수 있다.
2. 구약의 세계와 인성 기말고사 대체과제
2.1. 욥기에 나타난 중보자 사상
욥기의 주제는 인간의 고난이 아니며, 욥기의 주제는 한마디로 하나님의 주권 사상이다. 욥기는 하나님의 공의를 근거로 모든 인간을 "하나님의 주권" 아래 보종시킨다. 욥기는 매우 독특한 방법으로 하나님의 언약, 초월자에 대한 헌신, 창조주의 이해할 수 없는 절대 주권을 인정하는 것과 지혜를 찾아가는 방법을 동일시한다. 모든 문학의 역사를 통하여 볼 때에 욥기처럼 고통과 악의 문제에 대하여 진지하게 다룬 책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욥기의 독특함은 인간의 고뇌와 번민에 대하여 적절한 해답을 주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아무리 대중적이거나 심지어 신앙적인 해답이라도, 인간의 고통의 문제를 푸는 데 있어서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욥기는 분명하게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가르쳐주고, 궁극적으로 고난을 당하더라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에게 보상하신다는 사실을 가르쳐준다. 욥기가 제시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구속자가 땅 위에 서서 자기를 변호할 것이라는 "중보자 사상"이다. 욥은 더 이상 하나님께 질문하지 않으며 하나님을 보다 완벽하게 경험한 욥은 이제 단순하게 하나님을 신뢰할 뿐이다.
2.2. 히브리 시의 특징과 평행법
히브리어는 분별력을 표현하는 두 가지 중요한 특성, 즉 악센트의 강세로 표현하는 리듬(rhythm)과 평행법(parallelism)을 채용하고 있다. 리듬은 "고정된 발성 관계의 조화로운 반복"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악센트의 체계가 조화로운 반복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소리의 높낮이로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평행법은 시인이 사상을 진술할 때 반복, 변화, 대조를 통해 사상을 강화시키는 특성이다. 주요한 세 가지 형태로는 동의적 평행법, 반의적 평행법, 종합적 평행법이 있다. 동의적 평행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