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단별 장로교회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로교에 대하여
2.1. 성경에 나타난 장로회의 기원
2.2. 교회의 직분
3. 교회 정치 형태
3.1. 감독정치
3.2. 회중 정치 또는 독립 정치
3.3. 장로정치
4. 칼빈과 장로회 제도
5. 존낙스와 장로회 제도
6. 칼빈, 존낙스의 신학과 한국장로교회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로교회사를 알아야 할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장로교회가 성경적인 교회 정치 제도이기 때문이다. 둘째, 현대 교단들이 정체성을 잃어버린 상황에서 장로교회사를 연구하면 참된 장로교회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장로교회사는 교회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부터 장로교회는 많은 교육 기관과 구제 사업을 통해 교육과 선교에 앞장서왔다. 한국에도 100년 만에 많은 부흥을 이루었고 많은 목회자들을 배출해왔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 교회에 들어온 장로교회의 역사와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2. 장로교에 대하여
2.1. 성경에 나타난 장로회의 기원
성경에 나타난 장로회의 기원은 구약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구약에서 '장로'라는 단어는 100번 이상 사용되었는데, 이는 백성을 대표하는 지도자를 의미한다.
구약에서 장로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공동체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재판권을 행사했으며, 바벨론 포로기에도 그들의 권한이 계속되었다.
신약에서도 장로의 모습이 발견된다. '장로'라는 단어는 'πρεσβυτεροδ'로 번역되어 '손윗사람, 공직에 있는 사람, 영광을 얻을 자들'로 묘사된다. 신약 성경에서는 장로가 교회와 연관되어 사용되며, 교회직분을 나타내는 용어로 볼 수 있다.
신약에서 장로는 말씀과 가르침, 그리고 치리권을 행사하며, 이들은 임명의 형태로 선출되었다. 장로의 모형은 참된 지도자이신 그리스도에게서 찾아야 하며, 날마다 주님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이처럼 구약과 신약 모두에서 장로회의 기원을 발견할 수 있다.
2.2. 교회의 직분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교회의 직분이 생겨나게 되었다.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공동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직분자가 있어야 한다. 교회의 직분의 구분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인물을 세우는 것은 매우 어렵고 신중을 요하는 것이다.
초대교회 역시 직분자를 세울 때 당연히 그에 맞는 기능에 대한 문제가 자연스럽게 대두되었다. 전통적으로 개혁교회가 언급해온 직분은 크게 목사, 장로, 집사 세 가지이다.
장로는 초대 교회 조직에서 절대적이었다. 교회의 여러 중대한 문제를 해결, 처리하는 핵심이 바로 장로들이었다. 이러한 장로 직은 사도행전 11:30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안디옥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의 기근에 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울과 바나바를 예루살렘 교회의 장로들에게 보낸다. 또한 바울과 바나바가 교회를 세우면서 함께 교회의 장로들을 세운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세워진 장로는 교회 조직의 지도적인 위치에 서게 된다. 교회가 장로들에 의해서 운영되는 되었다.
신약교회에 장로 직이 감당했던 것을 살펴보면 다음 다섯 가지의 직무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디모데전서 5:17에서 장로 직에 대한 부분을 가르치는 자와 치리하는 자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장로는 가르침과 치리권을 둘 다 가지고 있는 목사와 치리권을 가지고 있는 장로로 구분한 것이다. 하지만 이 둘의 구분은 역할 분담 측면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교회의 직분은 기업체의 직위적인 측면이 아니라 역할분담의 자원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집사는 여러 가지 교회의 기능적인 면을 돌보며 수행하는 역할을 감당했다. 성경에서 '집사'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그 단어는 '종'이라는 개념에서 파생됐다. 이를 보건데 집사라는 직분이란 군림하는 직분이 아...
참고 자료
오덕교, 『장로교회사』, (서울; 합동 신학교), 1987
김영재, 『한국교회사』, (서울; 개혁 주의 신행협회), 1992
손병호, 『장로교회사』, (서울; 예장 총회 교육부), 1979
채기은, 『한국교회사』, (서울, 예수문서 선교회), 1977
손두한, 『기독교회사』, ( 서울; 총신 대학), 1982
박영관, 『기독교회 신앙과 역사』, (서울;예수교 문서 선교회), 1977
김영재. 『한국기독교』 합신대학원출판부 (p. 45)
박윤선. 『개혁주의 교리학』 영음사
존 칼빈. 『기독교강요』 생명의 말씀사
배광식, 『장로교정치제도 어떻게 형성되었나?』 (서울:토라출판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