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낭결석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담낭의 구조와 기능
1.2. 담석증
1.2.1. 병태생리
1.2.2. 원인
1.2.3. 증상
1.2.4. 진단검사
1.2.5. 치료와 간호
2. 간호력
3.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4. 진단검사결과
5. 처방약물
6. 혈당관리기록
7. 사례에서 고려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선정
8. 간호진단
9. 간호수행 기록지
10. 대인관계보고서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주머니 같은 구조로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한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지며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위해 필요하다. 대부분의 담낭질환은 간에서 담낭으로 또는 담낭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의 이동이 폐색되어 나타난다. 이런 폐색의 대부분의 원인은 담석이며, 종양 또는 농양도 폐색을 일으킬 수 있다.
1.2. 담석증
1.2.1. 병태생리
담석은 담즙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염이 정상적인 비율을 유지하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콜레스테롤은 지방성분이기 때문에 담즙에 용해되지 않지만, 담즙산염이나 인지질과 함께 작은 미포를 형성하면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담즙 내의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어 침전되어 담석이 형성된다. 이때 담석은 담관을 막아 폐색을 일으키고 황달과 지방흡수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담관의 벽을 압박하고 괴사, 감염을 일으키며 경련이나 통증을 유발한다.
담석의 형성에는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성, 40대 이상, 비만, 출산력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여성호르몬이 담즙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비만으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그리고 출산으로 인한 담낭 기능 저하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롤 담석 외에도 색소성 담석이 있는데, 전자는 80% 이상을 차지하며 후자는 20% 정도를 차지한다. 색소성 담석은 주로 갈색 또는 흑색으로, 간디스토마 등 기생충 감염이나 세균 감염, 간경변증, 용혈성 황달 등의 질환에서 발생한다.
결국 담즙 성분의 비정상적 변화와 함께 감염, 염증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담석이 형성되는 것이다.
1.2.2. 원인
콜레스테롤 담석은 여성, 다출산, 비만한 사람에게 더 잘 생긴다. 여성에게 많이 생기는 이유는 여성호르몬이 담즙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며, 다출산 여성에게 많이 생기는 이유는 임신 중 담낭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비만인 사람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기 때문에 담석의 위험이 높다. 또한 장기간 금식, 다이어트, 비경구 영양 요법을 하는 경우나, 위 절제 수술 환자, 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담낭 기능이 떨어져 담석이 잘 생길 수 있다.
갈색 담석은 간디스토마 등의 기생충이나 담관의 세균 감염이 있는 사람에게 많이 생기며, 영양이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 잘 발생할 수 있다. 흑색 담석은 염증이 없는 무균의 담즙에서 발생하며 간경변증이나 용혈성 황달 환자, 크론씨병 등으로 회장을 절제한 환자에게 많이 생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색소성 담석이 많았지만 최근 식이 생활이 서구화되고 비만 등으로 인하여 콜레스테롤 담낭결석이 증가하고 있다.
1.2.3. 증상
담석증의 특징적인 증상은 담도산통이다. 담도산통은 명치와 오른쪽 위쪽 배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 또는 중압감이며, 우측 견갑하부나 어깨 쪽으로 통증이 퍼져나갈 수 있다. 대개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고 보통 1~4시간 동안 지속되며, 서서히 또는 갑자기 소실된다. 오심과 구토가 흔히 동반되며, 발열이나 오한 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담석증의 합병증인 담낭염이나 담관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담석이 담관을 지속적으로 폐쇄하면 농양, 괴사, 천공 등으로 인해 복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장애로 인해 전신적인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1.2.4. 진단검사
초음파검사는 담낭결석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가 가장 높은 검사이다. 초음파검사를 통해 담낭염과 같은 담낭결석의 합병증 진단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검사 전 8시간 정도의 금식이 필요하며 별도의 주의사항이나 관찰사항은 없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 조영술은 담낭결석이 진단된 경우, 다른 간외담관 담석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검사법이다. 또한 담관결석을 제거할 수도 있어 치료와 검사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경구 담낭조영술은 담낭의 배출 기능과 담낭관의 폐쇄 정도를 알 수 있고 담석의 개수 판정에 유용하기 때문에 내과적 치료 방침 결정에 이용된다. 검사 전날 조영제를 섭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검사 결과가 위장관의 흡수 능력과 간의 분비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내시경적 초음파검사는 복부 초음파에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한 담석이 의심되거나 동반된 담관 담석을 진단할 때 도움이 된다.
담석증 외에 다른 질환이 의심될 경우에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게 된다.
1.2.5. 치료와 간호
담석증의 치료로는 수술적 치료와 내과적 치료가 있다. 증상이 없는 담낭 결석은 증상이 나타날 때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증상이 있는 담낭 결석은 통증이 재발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로는 개복 담낭절제술과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단축되며 상처가 경미하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과거에 상복부 수술을 받았거나 출...
참고 자료
KIMS 의약정보센터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윤은자외(2021), 성인간호학1(상) 수문사, 314 ~ 379pg
윤은자외(2021), 성인간호학1(상) 수문사, 481 ~ 560pg
한국간담췌외과학회 https://www.kahbps.or.kr/patient/index.kin?gubun=1
윤은자, 김숙영 외 3명(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482쪽, 491쪽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8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박상연 외 4명, 2006,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Ⅰ, 정담미디어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최경희 외(2014), Review book, 도서출판 의학교육
송미순 외(2012),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Teruo Watanabe(2015), 아틀라스 병리학, 고문사
이노우에 도모코(2015),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2, 한언
담석이란 무엇인가요?, 네이버검색(검색어:담석),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칼럼,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7496&cid=51003&categoryId=51016
드러그인포 http://patient.druginfo.co.kr/cp/msdNew/search/search_cp_main.aspx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