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학교는 많은 학생들이 모여 생활하는 공동체이다.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은 학교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학교 내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 문제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레포트에서는 학교보건 간호과정을 통해 학교 내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간호진단 및 간호사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교 식당의 위생 상태와 자유열람실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안전사고 위험성, 학습장애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사업 계획과 평가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나아가 객관적인 자료와 최신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학교보건 간호과정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2. 학교보건 간호 과정
2.1. 00관 1층 식당의 환경적 특성
00관은 00대학교 학생들이 점심 식사를 해결하는 곳으로 많은 학생들이 드나든다. 카운터에서 식사 주문 후 번호를 발급받는다. 번호 알림판에 본인 번호가 올라오면 주방 앞에서 음식을 받아온다. 식당에는 테이블 54개와 의자 210개가 갖춰져 있다. 냅킨은 건물 기둥에 각각 1개씩 6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번호 알림판은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 에어컨 2대와 천장형 에어컨 5대, TV 스크린형 메뉴판 2대, 식권발매기 1대, 정수기 2대와 자외선 살균 소독기 3대, 휴지통 5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블, 의자, 바닥에는 쓰레기와 떨어진 음식물이 남아있으며, 식사 전후로 손을 씻을 장소가 없다. 이처럼 00관 건물은 비교적 양호하나 점심시간이 되면 많은 학생들의 이용으로 인해 청결하지 못한 위생 상태와 식사 전 손 위생을 실시할 수 없어 건강 상태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2.2. 교내 자유열람실의 환경적 특성
교내 자유열람실의 환경적 특성이다. 교내도서관(자유열람실)의 자리 수가 학생들을 다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않다. 도서관의 출입문을 여닫을 때 소리가 난다. 책상에 낙서가 많다. 책상 사이 공간이 좁아 통행 시 불편하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 좌석을 정하는 시스템이 없어 빈자리 구분이 어렵다. 공산기념관에 자유열람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 방음이 완벽하지 않다. 열람실 내 휴지통이 충분하지 않아 쓰레기가 많이 방치된다.
열람실의 공간이 좁아 학생들의 수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열람실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관심이 결여되어 있다. 학생 수를 고려하지 않은 좁은 면적과 관련된 안전사고 위험성, 주변 소음과 관련된 학습장애,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열람실 용도의 효과 저하, 휴지통 등 환경적인 기구 부족으로 인한 환경위생 결핍이 문제점이다.
2.3. 학교 간호과정 적용
학교 내 식당과 자유열람실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 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00관 1층 식당은 많은 학생들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테이블과 의자, 바닥에 음식물이 떨어져 있는 등 청결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식사 전후로 손 위생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학생들은 손 위생을 실시하지 못한 채로 식사를 하게 된다. 이는 감염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교내 자유열람실의 경우, 학생 수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고 책상 간 거리가 좁아 접촉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소음이 발생하여 학습에 방해가 되며, 예산 부족으로 인해 필요한 기구와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안전사고와 학습장애, 열람실 용도 저하의 문제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