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의 신체적 발달
1.1. 신체적 성장
유아의 신체적 성장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유아기 첫 1년 동안 체중은 2.5kg, 신장은 12cm 증가한다. 이 시기에 피하지방이 감소하고 근육이 발달하여 여윤 체형으로 변화한다. 또한 식욕이 감소하지만 균형 잡힌 영양 섭취로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두위의 경우 6개월에서 1년 사이 흉위와 같아지며, 첫 1년 동안 12cm 자라나지만 2년째에는 단 2cm만 증가한다. 2세 때 흉위가 두위보다 크게 되며, 배가 돌출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복근이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척추의 천골 부위가 앞으로 휘어 있지만, 걸음을 연습하면서 점차 자연스럽게 바로잡힌다. 유아는 아장아장 걸음을 걷거나 큰 보폭으로 걸어다닌다.
이러한 신체적 성장과 더불어 신체 각 계통도 발달한다. 호흡은 느리지만 주로 복식 호흡을 하며, 심박수는 110회/분에서 90회/분까지 느려진다. 혈압은 99/64mmHg까지 증가하고, 뇌는 성인 크기의 약 90%로 발달한다. 호흡기계의 혈관 관강이 증가하여 하부호흡기 감염이 감소하며, 위 용적이 늘어나 3끼의 식사가 가능하고 위 산성도가 높아져 위장관 감염이 줄어든다. 마지막으로 소변과 항문 괄약근 통제력이 척수 수초화와 함께 발달하며, 면역계도 IgG와 IgM 항체 생산이 성숙해진다.
이처럼 유아기 신체발달은 다방면에 걸쳐 빠르게 진행되며, 이는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1.2. 신체계통
유아의 신체계통은 다음과 같다.
호흡계통에서 유아의 호흡은 약간 느리지만 주로 복식호흡을 하며, 혈관의 관강이 증가하여 하부호흡계의 감염이 감소한다. 심혈관계통에서 유아의 심박수는 110회/분에서 90회/분까지 감소하고, 혈압은 99/64mmHg까지 증가한다.
소화계통에서 위 용적이 유아가 하루 3끼의 식사를 할 수 있을 만큼 증가하며, 위 분비가 더욱 산성화되어 위장내 감염률이 떨어진다. 또한 소변과 항문 괄약근의 통제가 척골의 완전한 수초와 더불어 가능하게 된다.
면역계통에서는 IgG와 IgM의 항체 생산이 2세까지 성숙한다.
신경계통에서 유아의 뇌는 성인크기의 약 90%로 발달한다.
치아 발달에서는 8개의 새로운 치아(송곳니와 첫 번째 어금니)가 2년 동안 솟아나며, 일반적으로 20개의 젖니가 2세 반에서 3세까지 모두 나오게 된다.
1.3. 발달이정표
미세운동 발달 이정표는 유아의 손가락 움직임, 손바닥과 집게손가락 사용, 바른 자세로 잡기 등의 능력 향상을 보여준다"" 15개월 경에는 작은 공을 주머니에 넣거나, 연필로 서투르게 쓰기, 숟가락을 잡는 등의 미세동작을 할 수 있게 되며, 18개월에는 숟가락질이 안정되고 문손잡이를 돌려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2세에는 블록 쌓기, 교차선 긋기 등 미세운동 기술이 발달하며, 3세에는 옷 벗기, 블록 쌓기, 연필로 그리기 등 더욱 정교해진다"" 4-5세가 되면 신발 끈 묶기, 공 던지기 등 손과 손가락의 협응 능력이 향상된다""
전체운동 발달 이정표를 보면, 15개월에 혼자 걷기와 앉기가 가능해지며, 18개월에는 뛰기와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해진다"" 2세에는 계단 오르내리기, 뛰기, 세발자전거 타기 등이 가능해지고, 3세에는 더욱 능숙해져서 제자리 뛰기, 공 받기 등을 할 수 있다"" 4-5세에는 공 치며 걷기, 한발로 서있기, 공 던지기 등 전체운동 기술이 크게 향상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