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세 교육의 개관
1.1. 중세 시대의 특징
중세 시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생활의 모든 면이 크리스트교에 의해 지배되었다. 학문 또한 신학의 범주 내에서 연구되었으며, 초자연주의, 영혼주의, 내세주의가 지배적이었다. 인간은 현세의 생리적 욕구를 부인하고 금욕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둘째, 기독교와 봉건제도가 중세를 형성한 2대 기준이었다. 기독교는 정신세계의 기준이 되었고, 봉건제도는 세속 질서의 기준이 되었다. 신을 중심으로 한 신중심주의가 발달하였고,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발달보다는 민족주의에 국한된 계급주의가 강조되었다.
셋째, 기독교의 사해주의와 만민평등사상이 인류문화의 발전과 교육기회 확대에 기여하였다. 종래의 국가주의, 시민주의 교육에서 개인주의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교육 대상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영혼과 육체의 엄격한 구별 속에서 육체의 고통을 통한 정신의 정화를 추구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 되었다."
1.2. 중세 기독교 사상
중세 기독교 사상은 당시 유럽 사회를 지배했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었다. 중세 시대 기독교 사상의 핵심은 내세주의, 초자연주의, 영혼주의였다.
먼저, 내세주의는 현세보다 내세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사상으로, 인간은 현세에서의 고행과 금욕을 통해 내세에서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이에 따라 현세의 욕망을 철저히 배격하고 영원불멸의 내세를 동경하는 수련이 중요시되었다.
둘째, 초자연주의는 신과 신적 존재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사상이다. 중세 유럽인들은 신을 중심에 두고 이에 무조건적으로 복종해야 한다는 신중심주의를 발전시켰다. 따라서 개인의 조화로운 발달보다는 신에 대한 충성과 복종이 더욱 강조되었다.
셋째, 영혼주의는 육체와 영혼을 엄격히 구분하는 사상이다. 중세 시대에는 죄의 대가로 현세에서 고행과 금욕을 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영혼을 정화해야 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영혼을 구원하여 내세에서 영생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중세 기독교 사상은 내세, 초자연, 영혼을 강조하며 현세적 욕구와 자연적 삶을 부정적으로 여겼다. 이는 당시 유럽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1.3. 중세 교육의 목적
중세 교육의 목적은 영혼을 구원하여 내세에 영생하게 하는 것이었다. 중세 기독교는 인간 생활의 모든 면을 지배했으며, 학문 또한 신학의 범주 내에서 연구되었다. 인간은 사후세계에 대한 준비로 생리적 욕구를 부인하고 금욕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중세 교육은 개인의 조화로운 발달보다는 영혼의 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