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 배뇨장애 중환자실
1.1. 방광염의 병태생리
방광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방광염은 방광에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그 원인은 자극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에 의해 감염이 일어나고 감염에 의해 발생한 방광염은 요로감염 중 가장 흔하다. 비감염성 방광염은 방사선이나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간질에 의해 발생한 방광염은 원인불명의 염증질환이다. 감염성 요인으로 발생한 방광염은 세균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감염경로는 대부분 외부 요도를 통해 비뇨기관을 타고 침범을 하는데, 드물게 혈액과 림프액을 통하여 감염이 확산되기도 한다. 세균이 요로 내로 들어와 감염을 일으키는 데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1.2. 방광염의 원인과 위험요인
방광염을 일으키는 세균은 대부분 자신의 대장에서 유래한 장내세균이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80%정도로 가장 흔한 원인균이고, 그 밖에 클렙시엘라(Klebsiella), 녹농균(Pseudomonas),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장알균(Enterococcus) 등이 요로감염을 일으킨다. 그러나 세균이 방광에 들어왔다고 항상 방광염이 생기지는 않는다. 우리 방광은 유해 세균에 저항하는 방어 작용이 있는데 그것이 배뇨이다. 배뇨는 방광 내 소변에 들어 있는 유해 세균을 밖으로 배출해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소변을 너무 오래 참으면 방광염에 걸릴 확률이 상승한다. 소변 속에는 해로운 세균과 싸우는 여러 자연 면역인자가 있어서 이들이 세균에 부착해 유해 세균이 요로상피에 부착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방광염은 우리 몸의 면역 상태와도 관계가 있다. 몸이 피곤해 이런 면역인자들이 원활하게 작용하지 못하면 방광염에 걸릴 수 있다. 단순 방광염은 남성에게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여성에서 생기는데 그 이유는 남녀의 해부학적 차이에 있다. 남성은 요도가 길기 때문에 외부 세균이 방광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요도와 방광 사이에 전립선이라는 장기가 있어 방어 역할을 한다. 반면에 여성은 요도가 4 cm 정도로 짧아 방광 안으로 세균이 쉽게 들어올 수 있다. 특히 성관계는 외부 세균을 요도 안으로 밀어 넣는 셈이 되어 여성 방광염 발생과 관계가 있다.
1.3. 방광염의 임상증상
급성 방광염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빈뇨(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증상)이다. 요절박(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이다. 배뇨 시 통증(하복부 통증)이 있다. 배뇨 후에도 덜 본 것 같은 느낌이 있다. 하부 허리 통증 및 치골 상부(성기 위쪽의 돌출된 부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혈뇨와 악취가 나는 혼탁뇨가 동반되기도 한다. 만성 방광염은 증상이 없는 무증상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급성 방광염의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1.4. 방광염의 합병증
방광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발열과 오한 등 전신 증상을 동반하여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신우신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치료의 시기를 너무 늦출 경우 클렙시엘라, 황색포도알균 등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방광경련과 하복부 통증, 요도 자극감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방광염이 만성화되어 재발이 잦아지고 합병증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방광염이 의심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5. 방광염의 진단검사
소변 검사를 통해 방광염의 유무와 증상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소변 검사에는 담금봉 검사, 소변 분석검사, 소변 배양검사 등이 있다.
먼저, 담금봉 검사(dipstick test)는 소변에 침지하여 신속하게 염증이나 혈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소변 분석검사(urinalysis)는 검사 장비를 통해 소변 내 염증 표지자와 혈액, 기타 이상 물질을 분석한다. 소변 배양검사(urine culture)는 소변 내 세균을 증식시켜 원인 균주를 확인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이다.
소변 검체 채취 시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고 중간뇨를 채취한다. 소변 검사 결과, 염증이나 혈뇨, 세균이 검출되면 방광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 균주와 적절한 항생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소변 검사는 방광염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확한 소변 검체 채취와 신속한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