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기병동 실습
1.1. AIRVO
AIRVO는 열 가습된 고유량 산소를 비강 캐뉼라를 통해 환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AIRVO의 목적은 가습과 유량을 조절하여 환자의 적응도와 점막 섬모 세척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AIRVO의 장점은 환자 측면에서는 편안함과 치료 적응도 증진, 효과적인 의사소통, 구강 섭취와 수면 가능, 산소화 용이, 호흡 효율성 증진 등이 있으며, 의료진 측면에서는 치료 실패에 대한 불안감 감소, 침습적 치료 필요성 감소, 감염의 위험성 없이 객담 배출 가능, 점액 섬모 활동 최적화, 낮은 수준의 양압 제공, 정확한 FIO2 전달, 구강간호 용이와 구강점막 습도 유지 가능 등의 장점이 있다. AIRVO는 의식이 있거나 자발호흡이 가능한 환자 중 산소요법이 필요한 모든 환자, 저산소증 호흡부전, 고이산화탄소증 호흡부전, NIV나 face mask 부적응 환자, 고가습이 필요한 환자, 인공호흡기 전후 단계 환자 등에게 적용된다.
1.2. BIPAP
BIPAP은 불충분한 호흡과 수면 무호흡의 치료를 위해 서로 다른 압력 차를 이용한 양압을 제공하는 환기 보조 기능이다. 흡기 시 IPAP이 높은 압력을 제공하여 흡기를 쉽게 하고, 호기 시 EPAP인 낮은 압력을 제공하여 호기를 쉽게 한다. IPAP을 통해 일회 환기량 증가에 의한 분당 환기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저환기와 저산소혈증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EPAP을 통해 기도의 폐쇄를 방지함으로써 환기 효과를 좋게 할 수 있다. BIPAP은 CPAP의 기능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수면 무호흡 환자에게 비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해 상기도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BIPAP의 장점은 peep 사용으로 호흡 노력이 경감되고, 폐의 compliance를 증가시켜 폐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PaCO2에 대한 조정이 일어남으로써 호흡 중추 민감도를 항진시켜 저환기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intubation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점액 덩어리와 무기폐에 대한 관리가 불편하고, 코막힘, 충혈감, 공기의 유출, 마스크 적용 부위의 피부 문제 등이 있다. BIPAP은 자발적 호흡이 없는 심한 호흡부전이 있는 환자, 기도 유지 능력이 없거나 분비물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없는 환자, 위 내용물의 흡인 위험이 있는 환자, 급성 부비동염이나 중이염 진단을 받은 환자, 마스크 물질과 관련하여 알러지 반응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된다. BIPAP은 수면 무호흡증, 만성 폐쇄성 환기장애, 만성 제한성 환기장애 환자에게 적용된다.
1.3. 호흡
호흡은 신체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호흡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연령, 스트레스, 열, 체위, 약물 등이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흡수가 감소하다가 노인에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흡수가 증가하며, 체온이 올라가거나 불편한 자세에서도 호흡수가 증가한다. 마약성 진통제 등의 약물은 호흡수를 감소시킨다. 뇌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호흡수가 감소할 수 있다.
호흡음의 종류에는 수포음, 늑막 마찰음, 천명음, 협착음 등이 있다. 수포음은 미세한 거품소리로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심부전 등에서 나타난다. 늑막 마찰음은 늑막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음이다. 천명음은 호기와 흡기에서 계속되는 높은 음조의 소리로 기관지경련이나 기도 분비물로 인해 발생한다. 협착음은 높은 음조의 그르렁거리는 소리로 기도폐색을 의미한다.
이처럼 호흡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각종 호흡음은 호흡기계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호흡과 비정상적인 호흡음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1.4. 참고문헌
황옥남 외 8명은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에서 호흡기병동 실습과 관련하여 AIRVO, BIPAP, 호흡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성인간호학 실습 호흡기계 병동 사전학습의 내용인 용어 및 약어, 검사와 간호, 기관 흡인, 기관절개 환자 간호, 인공호흡기 적용환자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음압 격리실과 다제내성균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을 바탕으로 연명의료의 종류와 정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또한 병동에서 필요한 의학약어와 고위험약물, 응급약물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1,2,3]
2. 성인간호학 실습 호흡기계 병동 사전학습
2.1. 용어 및 약어
ABGA는 arterial blood gas analysis의 약어로 동맥혈 가스분석을 의미한다. AFB는 acid-fast bacillus의 약어로 항산막대균을 의미한다. ARDS는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의 약어로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을 의미한다. ARF는 acute respiratory failure의 약어로 급성호흡부전을 의미한다. BAE는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의 약어로 기관지동맥색전술을 의미한다. BAL은 broncho alveolar lavage의 약어로 기관지폐포세척을 의미한다. COPD는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약어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의미한다. FiO₂는 fraction of inspired oxygen의 약어로 흡기산소분율을 의미한다. IPF는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의 약어로 특발성 폐섬유화증을 의미한다. IPPB는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breathing의 약어로 간헐양압호흡을 의미한다. IRDS는 Idiopathic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의 약어로 특발호흡곤란증후군을 의미한다. Lx는 Laryngoscopy의 약어로 후두경검사를 의미한다. MDI는 meter drug inhaler의 약어로 정량식 흡입기를 의미한다. NPPV는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의 약어로 비침습적양압환기를 의미한다. NSCLC는 Non-sm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