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굿네이버스를 선택하게 된 사유에 대해서 기술하시기 바랍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복지사업법과 굿네이버스
1.2. 사회복지시설의 제도적 개선 필요성
2. 굿네이버스 사례 분석
2.1. 학대 피해 아동 보호 및 예방
2.2. 심리 정서 치료
2.3. 위기가정아동지원
3. 제도적 개선 방안
3.1. 구호단체의 재정 지원 방안
3.2. 후원 및 기부 활성화 방안
4. 결론
4.1.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전제 조건
4.2. 구호단체의 지속가능성 확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사업법과 굿네이버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르면, 이 법의 적용 대상이 되는 '사회복지사업'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아동/노인/장애인복지법, 한부모가족지원법 등 다수의 관련 법률에 따른 보호와 선도, 복지에 관한 사업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복지상담, 직업 지원, 의료복지, 재가복지, 사회복지관의 운영, 정신질환자 등의 사회 복귀에 관한 사업 등을 포함한다. 사회복지사업법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생산과 공급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굿네이버스는 사회복지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법 제16조에 따라 서울특별시로부터 설립 허가를 받은 사회복지시설이다. 굿네이버스는 1996년 민간단체 최초로 아동학대상담센터를 운영하였고, 현재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며 학대 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와 치료,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심리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과 청소년들을 위한 심리 검사와 심리 치료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정의 아동을 발굴하여 주거비, 의료비 지원 및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2. 사회복지시설의 제도적 개선 필요성
사회복지사업법은 사회복지사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사회복지의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업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그러나 실제 현실에서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구호단체의 경우 정부 보조금과 더불어 후원자들의 기부에 의해 운영되는데,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개인의 기부와 후원이 크게 줄어들었다. 서울의 경우 연말 개인 기부자가 평년 대비 10만 명 이상 감소하는 등 기부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처럼 구호단체의 운영이 후원과 기부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기부 감소가 발생하면 단체의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구호단체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호단체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와 기부 활성화 방안 마련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2. 굿네이버스 사례 분석
2.1. 학대 피해 아동 보호 및 예방
굿네이버스는 1996년에 민간단체 최초로 아동학대상...
참고 자료
사회복지사업법
굿네이버스 홈페이지
YTN, 2021.12.26. 코로나 19 탓 개인 기부 감소... 사랑의 온도탑도 미지근
함철호, 사례관리론, 방송대출판부 pp.12-13참조
종로구청 홈페이지
https://www.jongno.go.kr/Main.do?menuId=110095&menuNo=110095
노장우, 국제관계에서의 정부와 개발 NGO 관계 : Oxfam과 굿네이버스의 사례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9.
굿네이버스 홈페이지 (http://www.goodneighbor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