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하여 간호문제 도출을 위한 실습지도 가이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력
2.2.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2.3. 투약력
2.4. 간호과정
3. 결론
3.1. 참고 자료
3.2. 소감
4.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 간호문제 도출을 위한 실습지도 가이드
4.1. 치료적 의사소통술의 개념과 적용
4.2. 간호문제 도출을 위한 사정 및 평가 방법
4.3. 간호계획 수립 및 중재 제안
4.4. 교육 및 평가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심근경색증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의미한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심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할 만큼 최근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근경색증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이와 함께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며 간호대학생로서 수행 가능한 몇 가지 간호행위를 계획 및 수행하는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서 환자의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심장의 구조 및 각 기관의 명칭과 기능을 살펴보면, 우리 몸의 심장은 무게 300g 의 비교적 작은 근육기관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머금은 혈액을 온몸으로 뿜어내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실은 혈액을 다시 폐로 순환시키는 일종의 펌프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심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조의 명칭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심방은 정맥과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는 곳으로 좌심방과 우심방으로 나누어진다. 심실은 동맥과 연결되어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내뿜는 곳으로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누어진다. 대동맥궁은 상행대동맥과 하행대동맥 사이의 활모양(궁상) 부분을 의미한다. 판막은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 존재하는 막으로 좌심의 승모판과 우심의 삼첨판으로 나누어진다.
심장장애 대상자를 사정할 때 가장 중요한 단계는 대상자로부터 심장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심장질환의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심계항진 등이 있다. 주관적 자료에는 호흡곤란, 흉통, 심계항진, 실신, 피로 등이 포함된다. 객관적 자료에는 피부색과 온도, 혈압, 맥박, 경정맥압, 시진과 촉진, 청진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종류의 혈액검사와 그 목적을 살펴보면, 심근효소검사는 급성적인 심근손상 여부와 정도를 확인하고, 혈청지질검사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사정하며, 호모시스테인검사와 C 반응성 단백질검사는 심장발작의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혈액응고검사, 동맥혈가스분석검사, 혈청전해질검사 등도 관상동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된다.
관상순환은 관상동맥에 의하여 혈액이 심장을 흐르는 순환으로 심근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상동맥은 좌측과 우측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세부 혈관들이 심장 근육과 부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관상동맥질환이란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심근에 국소적 빈혈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질환은 안정형 협심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심근이 허혈상태가 되면 혈관은 확장되고 산증이 발생하며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되어 정상 전도와 수축기능이 억제된다. 심근의 경색에 대한 시간에 따른 반응은 6시간 내 경색부위의 푸르스름한 변화 및 부종 발생, 48시간 내 호중구 침범으로 인한 노란 줄무늬, 8~10일 내 과립조직 생성, 2~3개월 내 얇고 단단한 반흔조직 형성 등이다. 관상동맥의 정확한 폐쇄부위와 좌심실벽의 손상부위에 따라 경색에 대한 반응이 달라진다.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증상은 흉통으로, 협심증은 휴식 및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시 완화되는 특징을 보이며 심근경색증은 마약성 진통제 투여 시 완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 외에 심전도 변화, 심부전,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은 혈액검사, 심전도, 스트레스검사, 심근관류영상, 자기공명영상, 관상동맥촬영술 등을 통하여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심근효소검사와 심전도, 관상동맥촬영술이 주로 활용된다. 관상동맥질환의 합병증으로는 부정맥, 심부전, 심인성 쇼크 등이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내과적 치료에는 항혈소판제, 말초혈관 확장제, 혈압강하제, 심근수축제 등이 포함되며, 수술적 치료에는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과 관상동맥우회술이 있다. 관상동맥질환 대상자에게 도출 가능한 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 조직관류 저하, 출혈 위험성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2. 본론
2.1. 간호력
전자의무기록을 확인한 바, 대상자는 80세 여성이며 2018년 5월 8일 응급실 경유 후 EICU-A에 입원하였다. 주요 진단명은 NS...
참고 자료
이영휘 외 공역, 『성인 간호학 Ⅰ』, 정담미디어(2013)
전시자 외 공역, 『성인 간호학 제6판 상권』, 현문사(2016), 619-765p
김금순 외 공저, 『성인 간호학 Ⅰ 여덟째판』, 수문사(2016), 700-855p
고일선 외 편역, 『기본 간호학 Ⅱ』, 정담미디어(2013)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4), 100-101p,
채석래 외 공저,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의학서원(2008)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emergency severity index(esi):a triage tool for emergency(ePaper read)
https://www.yumpu.com/en/document/view/8686805/emergency-severity-index-esi-a-triage-tool-for-emergency-
김미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의 유용성 평가."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17. 경기도
CTAS-ETG
https://ctas-phctas.ca/?page_id=294
심승배, 최재형, 김보성, 오지수, 김승호, 박유석, 박인철, 정태녕, 오경환, 정봉주, 이영훈. (개최날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고려한 응급실의 진료 프로세스 패턴 분석.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개최지.
이슬기, 이상현 (2020). 의료서비스 경험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환자경험평가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1(2), 1-21
황미경, 권만우 (2017). 의료서비스디자인 개선전략을 위한 웹사이트 접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97-605
장금성, 정경희, 김윤희(2018), 국내 의료서비스디자인연구 동향분석. 가호행정학회지, 24(1), 85-96
노태린, 서수경(2018),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여성중심 비뇨기과 병원 공간디자인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6), 58-6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 직접 의료서비스 평가한 「환자경험 평가」공개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