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아의 정서발달
2.1. 정서의 개념과 발달
2.2. 정서이해
2.3. 자기의식적 정서
2.4. 정서조절 능력
2.5. 감정이입과 공감
3.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조절 프로그램
3.1. 그림책의 정의와 교육적 가치
3.2. 유아의 공감능력
3.3. 정서지능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4.3. 향후 연구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유아의 정서발달은 개인 내적인 특성을 넘어 개인 간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목적지향적인 반응이다. 유아는 정서적 각성을 경험하면서 이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하고 조절하게 된다. 특히 유아기에는 자아개념이 발달함에 따라 자부심과 수치심 등의 자의식적 정서를 경험하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유아가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과정은 부모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며, 이는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서 발달의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정서지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유아의 정서발달
2.1. 정서의 개념과 발달
정서는 심리적인 각성, 의식적인 경험, 행동적 표현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느낌 또는 감정이다. 최근 정서에 대한 연구는 정서를 개인 내적인 특성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대인관계에서 특별한 맥락적 요구에 적응하고자 하는 개인의 시도로부터 나타나는 반응으로 이해하고 있다. 즉 정서는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며 목적지향적인 것으로 정서표현을 통해 자신의 감정상태를 알려주는 한편,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기는 엄마를 보면 반갑다는 표시로 미소를 지으며 다가가려 하지만, 엄마가 무반응적이면 울거나 화를 내며 피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목표로 하는 행동은 특정 정서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면 상대방의 위협을 피하고 싶다고 생각하면 두려움을 느끼고, 감추고 싶은 행동이 있으면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정서발달은 또래관계, 부모자녀관계 및 다른 사회적 발달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유아기에는 정서표현 어휘가 급격히 발달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거나 표현한다. 특히 유아기 초기에는 정서의 원인-결과-행동적 신호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정확하고 복잡해진다. 4-5세 정도의 유아는 "엄마가 보고 싶어서 슬퍼요" '친구는 인형을 가지고 있어서 행복해요'라고 정서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한다. 또한 유아는 친구가 정서를 분명하게 표현하면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4세가 되면 화난 아이는 누군가를 때리고 행복한 아이는 즐겁게 나눠 갖는다는 것을 안다. 뿐만 아니라 유아는 다른 사람의 부정적인 감정을 없애주는 방법도 생각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유아는 서로 다른 모순된 단서가 있는 상황은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상황보다는 정서에 근거하여 이해한다. 예를 들면 부서진 자전거와 행복한 모습의 사진을 보여주고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물으면 4-5세 유아는 '아이는 행복해요. 자전거 타기를 좋아하니까요'라고 대답하지만, 더 나이 든 아동은 '아이는 행복해요. 아빠가 자전거 고쳐주기로 했으니까요'라고 대답한다. 사회적 경험 또한 유아의 정서이해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자녀의 정서적 반응을 이해하고 다양한 정서를 가르치는 부모의 자녀는 다른 사람의 정서를 더 잘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이해에 대한 대화는 성숙한 의사소통 기술을 모델링하는 동안 아동이 정서의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하고 적절한 행동과 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2.2. 정서이해
유아기가 되면 유아는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해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만 3세경에 유아는 기쁨, 슬픔, 분노와 같은 기본정서와 정서를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한다. 만 4-5세경에 이르면 "엄마가 보고 싶어서 슬퍼요" "친구는 인형을 가지고 있어서 행복해요"와 같이 정서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의 유아는 친구가 특정 정서를 표현한 후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난 친구는 누군가를 때리고 행복한 친구는 즐겁게 나눠 갖는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유아는 다른 사람의 실제 정서와 외면적으로 표현하는 정서를 구별하는 데 서툴다. 즉, 슬픈 사람이 행복한 표정을 짓거나 실제로 기쁜 사람이 기쁜 표정을 짓지 않으면 유아는 혼란스러워한다. 또한 유아는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이해할 때 일치하지 않는...
참고 자료
강은애, 현은자(2005). 그림책에 기초한 감성교육 프로그림이 유아의 감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8, 211-234
고인숙(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회, 김경희(2000). 유아 정서지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21-34
김은실(201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미(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 이해와 교육. 파주: 학지사.
김예연(2002). 교사와 유아의 그림책 함께 읽기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이야기 이해 전략.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현아, 김소연(2002).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33
최선경(2016).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주희(2016). 상황에 따른 유아 정서어휘 표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제러미 리프킨(2010). 공감의 시대. 서울: 민음사.
이주일, 민경환(1996). 정서지능: 개념의 소개 및 연구 전망. 서울대학교 심리과학 연구소, 5(1), 67-84.
Goleman, D.(2006). Social Intelligence: The new science of human relationships. New York, NY: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Peter Salovey & David J. Sluyter (197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sic Books.
Salovey P. & Mayer J. D.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sic Books.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