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츠하이머병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3. 본론
3.1. 간호력
3.2. 간호사정
3.3. 진단검사
3.4. 투약
3.5. 평가
3.6. 간호과정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치매는 사랑하는 가족은 물론 거울에 비친 자신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증세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런 망각은 대뇌피질이 파괴되면서 야기된다. 치매는 크게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로 나누는데 뇌출혈, 고혈압 등 혈관질환이 원인인 혈관성 치매와 달리 알츠하이머병은 발병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해 정확한 정의와 원인, 발병기전, 치료 등에 연구해보고 실제 사례를 통해 치료 및 간호에 대한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65세에서 85세 범위내에서는 나이가 5세 증가할 때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률이 2배씩 높아진다. 알츠하이머병은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고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연령대별 정상군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단축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 독성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양측 측두엽의 기능 저하로 시작되고, 점차 비정상적으로 뭉쳐있는 특징적인 단백질 덩어리 즉, 노인판과 신경섬유농축제 등이 전반적인 뇌의 피질부로 확산되면서 병이 진행된다.
2.2. 원인
연령의 증가는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정상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노화 과정에 의해 발생하며,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거의 60~8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65세 이상에서 10~15%, 75세 이상에서 47%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노령화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외인성 독소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다. 뇌에 독성 작용이 있는 환경적 독소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신장 투석을 하는 경우 많은 알루미늄이 환자에게 투입되므로 점진적인 지적 장애, 언어 이상, 간대성근경련, 비정상적인 뇌파의 특징이 나타난다.
유전적 요인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 된다. 아밀로이드의 전구물질 분자가 염색체 14, 19, 21에 있으며,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가족에서 염색체 21의 이상이 있다. 또한 다운증후군인 사람에게서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며, 보통 20세 전후나 40세 정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아밀로이드는 혈관에서 관찰되는 울퉁불퉁한 단백질로서 혈관과 신경원을 폐쇄시키거나 환자의 뇌에 반점을 형성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환자의 뇌에서뿐만 아니라 말초조직에서도 발견되어 알츠하이머병의 전신질환 가능성과 혈관성 병변과의 관련성 등이 논의되고 있다.
2.3. 병태생리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뇌의 병리학적 특징은 신경원섬유 덩어리와 아밀로이드반의 과잉이다. 이는 주로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와 관련된 부위에서 발견된다.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이러한 덩어리와 반이 만들어지지만,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훨씬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이 만들어진다.
타우라고 불리는 단백질은 신경원섬유 덩어리를 처음 발견했을 때 찾아낸 단백질로, 건강한 신경세포의 유지를 돕는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이 타우가 비틀어지고 엉켜서 뉴런 안에서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신경원섬유 덩어리는 세포의 죽음을 가져오고 뉴런의 퇴화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증상을 일으킨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기억과 인지에 중요한 영역에서 콜린성 신경원을 상실하며, 세로토닌이나 노에피네프린과 같은 다른 신경흥분 전달물질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
참고 자료
유선영 외 공저(2022), 노인간호학, 고문사, 233p~252p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232p~1237p
이동숙 외 공저(2021),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63p~393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중앙치매센터 > 자료실 >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https://www.nid.or.kr/main/main.aspx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알츠하이머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690&cid=51007&categoryId=51007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하) 제8판」, 현문사, 2022, p500~5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