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췌장염이란 술이나 담석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췌장에 갑자기 염증이 생겨 췌장 및 그 주변조직이 손상되는 병을 말한다"" 급성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코올과 담석증으로 이 두 가지를 합하면 거의 70%~80%에 해당한다"" 현재 한국의 알코올 소비량은 세계 8위로 국민 한사람이 연간 소비하는 양은 소주 50병과 맥주 100병정도로 해마다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췌장염의 발생빈도가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췌장염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1.2. 질병의 이론적 문헌고찰
1.2.1. 정의
췌장염은 세균의 침입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자(췌장)효소가 이자 내에서 활성화되어 이자세포가 자신을 소화하여 염증이 일어나고 조직이 탈락, 괴사되는 과정이다."" 췌장염은 급성과 만성 형태로 나타나는데, 남성은 주로 알코올중독, 손상, 소화성궤양과 관련이 있고 여성은 쓸개길(담도계)질환과 관련이 있다. 담도질환에 의한 췌장염은 예후가 좋으나, 알코올중독과 관련된 췌장염은 예후가 나쁘다. 췌장염이 괴사나 출혈로 진행되면 사망률이 60%에 달한다.""
1.2.2. 원인
급성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코올과 담석증으로 이 두 가지를 합하면 거의 70%~80%에 해당한다"이다. 알코올은 췌장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직접적으로 췌장세포를 손상시켜 췌장염을 유발한다. 알코올은 췌장의 자가소화효소를 활성화시키고 췌장 실질의 염증을 일으키며, 췌장의 미세순환 장애를 유발하여 췌장 조직의 괴사를 초래한다. 따라서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자에게서 급성췌장염이 주로 발생하며, 알코올 섭취량이 많을수록 췌장염 발생률이 높아진다. 한편, 담석증 역시 급성췌장염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담석이 총담관을 막아 췌관폐쇄를 유발하면 췌장액의 역류와 췌관압력 상승으로 인해 췌장염이 발생한다. 따라서 중년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담석증 환자들에게서 급성췌장염이 호발한다"이다.
1.2.3. 병태생리
급성췌장염의 주된 병태생리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방분해과정이다. 이자의 내분비 및 외분비 세포의 지방 괴사가 일어나며, lipase 효소에 의해 이자의 외분비 세포가 괴사된다. 이 지방분해과정에서 유리된 지방산이 혈청 칼슘과 결합하여 저칼슘혈증이 발생한다."
둘째, 단백분해과정이다. 단백분해효소인 trypsin이 활성화되어 이자세포의 자가소화를 일으킨다. 단백분해는 peptide를 가수분해하여 더 작은 polypeptide를 생성하며, 이는 혈전 형성과 이자 괴사를 유발한다."
셋째,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과정이다. elastase가 trypsin에 의해 활성화되어 혈관벽과 이자관의 탄력섬유를 녹이고 혈관을 괴사시켜 출혈을 일으킨다."
넷째, 염증 반응이다. 이자의 출혈부위와 괴사부위에 백혈구가 모여들면서 염증 변화가 초래된다. 이로 인해 이자조직이 화농되거나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가벼운 감염은 흡수되지만, 심한 경우 석회화와 섬유화가 일어나며 감염된 부위의 체액이 섬유성 조직에 의해 덮이면 가성낭종이 된다.
1.2.4. 증상
주요 증상은 상복부의 심한 통증이다. 통증은 갑자기 나타나며, 상복부나 좌상복부에 국한되고 복부 압통과 복부경직 등이 있으며, 왼쪽 옆구리 또는 왼쪽 어깨로 방사된다. 바로 누운자세나 옆으로 누운자세를 취하면 더 심해지고 태내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하면 감소되므로, 배를 보호하는 자세를 취한다. 지방식이나 알코올 섭취시 통증이 심해진다. 통증은 이자팽만, 복막자극, 담도계 폐쇄로 인한다.
구역과 구토, 백혈구 증가, 발열, 빈맥, 황달 등이 나타난다. 장폐색이 있으면 창자소리는 감소되거나 들리지 않는다.
혈류로 유입된 trypsin에 의해 혈관이 손상되어 복강 내 출혈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배꼽 주위 피하출혈과 옆구리 부위 피하출혈이 있다. 심한 경우 쇼크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이자 내 출혈, 이자효소의 활성화로 인한 균혈증, 후복막강으로의 체액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