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심실중격결손 사례 연구 및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심실중격결손 사례 연구 및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동간호학 실습 개요
2.1. 환아 사례 소개
2.2. 심실중격결손(VSD) 환아 간호
2.2.1. 정의 및 병태생리
2.2.2. 증상 및 진단
2.2.3. 치료 및 간호
2.3. 폐동맥 고혈압(PAH) 환아 간호
2.3.1. 정의 및 병태생리
2.3.2. 증상 및 진단
2.3.3. 치료 및 간호

3. 아동간호 과정
3.1. 건강력 및 발달상태 사정
3.2. 간호진단 도출
3.3. 간호계획 수립 및 수행
3.4. 간호 평가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동간호학 실습의 대상이 되는 심실중격결손(VSD)과 폐동맥 고혈압(PAH) 환아의 질병 특성과 간호 접근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VSD는 심장의 중심 벽인 심실중격에 구멍이 있어 발생하는 선천성 심장병이며, PAH는 폐동맥의 병리적 변화로 인한 치명적 질환이다. 이들 환아의 건강력 사정, 간호진단 도출, 간호계획 수립 및 수행, 간호 평가 등 체계적인 간호 과정을 통해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사례 연구를 통해 아동간호학 실습에서 VSD와 PAH 환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근거 기반의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


2. 아동간호학 실습 개요
2.1. 환아 사례 소개

해당 환아는 4개월 된 여아로, 선천성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과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을 진단받았다. 환아는 2019년 3월에 VSD 수술을 받았지만, 수술 후에도 양방향성 대심방 판막 역류(both atrioventricular valve regugitation)가 지속되어 폐고혈압이 악화되고 있는 상태이다. 입원 당시 환아는 기침, 가래, 미열 증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가정에서 가습기 산소요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산소 투여 없이 유지되는 산소포화도가 낮아지고, 수면 중 심박수 저하 증상이 반복되어 집중 치료를 위해 입원하게 되었다. 환아는 현재 Eisenmenger 증후군(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을 앓고 있는 상태이다.


2.2. 심실중격결손(VSD) 환아 간호
2.2.1. 정의 및 병태생리

심실중격결손(VSD)의 정의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실중격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중간벽(심실중격, ventricle septum)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가장 흔한 선천심장병이다. 결손은 심실 중격의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위치에 따라 크게 막양부 결손, 근성부 결손, 대혈관 판하 결손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막양부 결손이 가장 흔하다. 이러한 심실 사이 결손이 있는 경우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충분하지 못한 혈액이 섞이기 때문에 입술과 손톱에 청색증이 나타난다. 심실중격결손은 자궁 내에 있을 때 발생하게 되는데, 심장발생과정 중 심실중격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초래된다.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자와 염색체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2. 증상 및 진단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중간벽(심실중격, ventricle septum)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어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충분하지 못한 혈액이 섞여 입술과 손톱에 청색증이 나타난다. 심실중격결손은 자궁 내에 있을 때 심장발생과정 중 심실중격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초래되며,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유전자와 염색체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짧은 호흡, 빈호흡, 호흡곤란, 창백 청색증(특히 입술과 손톱), 수유 시 발한, 잘 먹지 못함, 체중이 늘지 않음, 성장발달 지연, 잦은 호흡기 감염이 주 증상이다. 결손이 작은 경우 증상이 없고 성장하면서 닫히기도 하지만, 결손이 크면 생후 3~4주경부터 울혈성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고 점차 심해진다.

심실중격결손은 흉부 X-ray 사진에서 심장은 커져있고 폐혈관 음영이 증가하며, 심전도에서는 심실비대 소견을 보인다. 또한 심도자법을 이용하여 근성부 결손을 폐쇄 기구로 막아주는 치료법을 시도할 수 있으나 시술상 어려움이 있고 위험이 크다.


2.2.3. 치료 및 간호

심실중격결손(...


참고 자료

김재희(2017),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0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방경숙(2018), 아동간호학 2판, 서울시 : 학지사메디컬, 415-416
양선희(2017), 기본간호학2,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실중격결손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2019.05.0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폐성 고혈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0, 2019.04.30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정보, “폐동맥 고혈압”, http://helpline.nih.go.kr/cdchelp/ph/rdiz/selectRdizInfDetail.do?menu=A0100&rdizCd=RA201810528, 2019.04.30.
드러그인포. 약품상세검색. https://www.druginfo.co.kr/. 2019.05.08
박호란 외, 2020,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269-270
이영휘 외, 2020, 성인간호학 1, 학지사메디컬
황종희. (2013). 종설 : 신생아 폐고혈압.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4(1), 1-10.
전용훈. (2004). 신생아 지속성 폐고혈압의 병태생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7(7).
황종희. (2013). 종설 : 신생아 폐고혈압.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4(1), 1-10.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학1, 현문사
박호란 외, 2020, 아동간호학1, 현문사
병원간호사회, 낙상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박소연, 주현옥. (2017),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아동낙상예방교육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23(4)
Chun, J.-H. et al. (2018)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Falls in Adult People,”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