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작업당뇨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5.03.20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야간작업당뇨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업의 필요성
1.2. 사업의 목적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2.1.2. 당뇨(Diabetes Mellitus)
2.1.3. 고혈압(essential/secondary Hypertension)
2.1.4.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2.1.5.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2.2. 지역사회 사정
2.2.1. 지역개황
2.2.2. 지역의 건강수준
2.2.3. 지역의 보건문제 해결역량
2.3. 산업체 사정
2.3.1. 산업장 특성
2.3.2.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
2.3.3. 보건관리대행 산업장 현황
2.4. 간호과정
2.4.1. 산업간호사업 간호문제 분류
2.4.2. 산업간호사업 간호진단
2.4.3. 산업간호사업 우선순위 결정
2.4.4. 산업간호사업의 목적설정
2.4.5. 산업간호사업 수행계획
2.4.6. 산업간호사업의 평가계획
2.4.7. 기대효과

3. 결론
3.1. 기여도
3.2.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업의 필요성

교대근무 및 야간작업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대사증후군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심뇌혈관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조기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병의 예방을 위해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유소견자 비율을 파악하고 문제를 예방 또는 관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1.2. 사업의 목적

본 연구에서 선택한 산업장은 야간작업을 자주함으로 인해 대사증후군을 호소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대사증후군 중에서도 특히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에 노출된 근로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하여 해당 산업장을 대상으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야간작업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들이 야간근무에 대한 유의점(연속 야간근무 최소화, 근무 사이 충분한 휴식보장, 야간작업 중 잠시라도 수면, 휴식시간 보장 등)을 잘 시행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둘째, 근로자들에게 대사증후군, 특히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이라는 직업병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직업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자기관리부터 교육하고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을 낮추고자 하기 위함이다.

셋째, 본인들은 산업장에서 작용하고 있는 원칙들을 실제문제 상황에 대응하여 적용시켜봄으로써 야간근무와 건강 관련 지식을 향상시키고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넷째, 직업성 유소견자, 요관찰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사증후군에 속하는 질환(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정의, 발병기전 등 질병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직업병으로 발병할 수 있는 요인 등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기 위함이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내당능 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죽상동맥 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한 개인에게서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인슐린 저항성은 환경 및 유전적인 요인이 모두 관여하여 발생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으로는 비만이나 운동 부족과 같이 생활 습관에 관련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교대 근무 및 야간 근무도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이 증가할 수 있다. 당뇨병이 없는 대사증후군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확률이 평균 1.5~3배 정도 높고, 당뇨병이 생길 확률은 3~5배 가까이 증가한다. 그 외에도 지방간이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등의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사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금연 및 저주,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


2.1.2. 당뇨(Diabetes Mellitus)

당뇨병이란 우리 몸이 섭취한 음식물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여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의 수치가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상태이다. 당뇨병은 유전, 바이러스, 비만증, 노화, 식사습관, 스트레스 및 약물 등의 원인으로 생기며, 원인에 따라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유전적 원인으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며, 제2형 당뇨병은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뇨병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전과 환경적 요인이다.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 인자로는 고령, 비만, 스트레스, 임신, 감염, 수면장애, 약물(스테로이드제제, 면역억제제, 이뇨제) 등이 있다. 특히 수면장애로 인한 수면부족은 혈압을 높이며, 스트레스를 높여 고열량의 식품을 섭취하게 하기 때문에 비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혈당을 모두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이나 당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면관리를 잘 해야 하며, 6시간 이하 또는 10시간 이상의 수면을 피해야 한다. 그 외의 원인으로 야간 근무를 들 수 있다. 최근 당뇨병과 관련되어 진행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야간 근무 또한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이 된다.

당뇨병의 증상은 갈증, 다음, 다식, 다뇨, 피로감, 체중감소, 피로감 등의 '삼다'(다음, 다뇨, 다식)로 나타난다. 그러나 혈당이 많이 높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수면장애는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이다. 당뇨병의 치료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으며, 혈당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1.3. 고혈압(essential/secondary Hypertension)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이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콩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므로 조기진단과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이 있다. 본태성 고혈압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 호르몬의 변화, 교감신경의 긴장, 알코올 섭취, 운동을 적게하는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차성 고혈압은 혈압상승을 가져올 만한 특정한 원인 질환이 확인된 고혈압으로, 기저질환을 치료하면 정상 혈압이 된다.

야간근무는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체 시간대 평균동맥압의 평균, 수축기 혈압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 맥압의 평균이 주간교대 근무시에 비해 야간교대근무 시에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3가지 지표(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심박수)의 수면시간대 하강 정도가 야간교대근무 후 주간수면시간대에서 주간교대근무 후 야간수면시간대에서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따라서 야간근무는 고혈압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흔히 피로, 호흡곤란, 심계항진, 현훈, 협십증, 활동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이름 아침에 두통이 발생하고, 눈이 침침해지며 특별한 이유 없이 비출혈이 발생하고 우울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한다.

고혈압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식사와 균형 잡힌 식단, 운동 등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고혈압이 있는 흡연자의 경우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


2.1.4.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은 혈액 속에 지질 또는 지방 성분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이다. 이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운반하는 지단백의 생합성 증가 또는 분해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HDL) 콜레스테롤혈증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상지질혈증의 원인은 일차성과...


참고 자료

고용노동부,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 실시(‘14.1.1. 시행)」, 2013, p2-p3
곽종길, 동경래, 최성현, 「건강검진 시 교대근무자의 복부초음파검사와 간 기능 검사, 대사증후군 결과에 대한 고찰」, 2020,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p1-p9
김태희, 「임금 근로자의 근로형태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p1-p65
남은서, 김예슬, 김연신, 「근무형태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비교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2014」, Korean J Fam Pract, 2017, p1-p8
이말숙, 「산업체 근로자의 야간교대근무가 주관적 수면의 질과 체구성요인, 혈중지질, 혈압 및 동맥 경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화자료집, 2019, 859-870
이수진, 「여성 병원 근로자에서 교대근무와 대사증후군의 관계에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수면의 길이」, 2018, SMART KIHA, BEST KIHA, p2-p5
정연재, 「3교대근무 간호사들에서 야간교대근무로 인한 심혈관계 지표들의일중변동 양상」,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2007,p 1-8
고용노동부, 안전관리공단,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직업건강 가이드라인」, 2013, p3-p35
순전향대학교부속구미병원 검진팀, 「‘야간작업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특수건강진단을 ③실시해야 합니다.」, 2014, p3-p7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 아홉 번째판(2019), 수문사, p857~p871, p1323~p1363
최연희 외(2018) /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 수문사
환경부(2020), 대기환경월보,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p1~p121
KOSIS국가통계포털(2019), 주제별 통계,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MSD 매뉴얼, 「대사 증후군」,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8%81%EC%96%91-%EC%9E%A5%EC%95%A0/%EB%B9%84%EB%A7%8C%EA%B3%BC-%EB%8C%80%EC%82%AC-%EC%A6%9D%ED%9B%84%EA%B5%B0/%EB%8C%80%EC%82%AC-%EC%A6%9D%ED%9B%84%EA%B5%B0, 2021.06.01.
MSD 매뉴얼, 「이상지질혈증」,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D%98%B8%EB%A5%B4%EB%AA%AC-%EB%B0%8F-%EB%8C%80%EC%82%AC-%EC%9E%A5%EC%95%A0/%EC%BD%9C%EB%A0%88%EC%8A%A4%ED%85%8C%EB%A1%A4-%EC%9E%A5%EC%95%A0/%EC%9D%B4%EC%83%81%EC%A7%80%EC%A7%88%ED%98%88%EC%A6%9D, 2021.06.01.
N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대사증후군」,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61, 2021.06.01.
경상남도통계빅데이터(2018.11.04.), 지역내 총생산(GRDP), https://www.gyeongnam.go.kr/data/index.gyeong?menuCd=DOM_000002902005000000
공공게이터포털(2018.05.14.), 경상남도 양산시_통계연보, https://www.data.go.kr/data/3065876/fileData.do
권현, 헬스코리아뉴스, 「야간 교대근무, 당뇨병 위험 40%↑」,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423, 2021.05.31.
박시정, 트리니티메디컬뉴스, 「야간근무가 당뇨병 위험 증가시킨다 –불규칙적으로 자주 야간근무하는 사람은 낮 근무자에 비해 44%나 증가
삼성서울병원, 당뇨병,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00&CONT_SRC=CMS&CONT_ID=2690&CONT_CLS_CD=001020001010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대사증후군」,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113&keyword=&curPage=3, 2021.06.01.
서울아산병원, 당뇨병,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6
세브란스 안과병원(2003), 성인당뇨, http://sev.iseverance.com/eye_ent/health_info/nutiritionInfo/nutirition_disease/diabetes/adult/view.asp?con_no=2173
안지현, 삼성서울병원 삼성당뇨소식지 Vol.280, 「당뇨병과 수면장애」,http://www.samsunghospital.com/webzine/smcdmedu/280/webzine_280_1.html, 2021.05.31.
양산시청(2019), 통계청DB, https://www.yangsan.go.kr/portal/frame/statistics.do?mId=0407030300
양산시청(2020), 양산시 통계연보, https://www.yangsan.go.kr/portal/selectContents.do?mId=0407030100
양산신문, 「웅상지역 유일 종합병원 OO병원」,2020.06.03.
http://www.yangsa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5858
질병관리본부(2019.11.17./수정 2020.08.06.), 당뇨병,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080#tagID5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6, 2021.06.01.
한진규, 헬스조선, 「방치된 수면장애 당뇨대란 부추긴다」, https://m.health.chosun.com/column/column_view.jsp?idx=7280, 2021.05.31.
헬스조선, 「밤낮 뒤바꿔 일하는 사람 '당뇨병' 주의해야」,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2/2018112201505.html, 2021.05.31.
정혜선 외 (2019). 직업건강간호학 3. 건강관리 p. 92~101, 227~232
직장에서의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평가 및 사후관리지침(KOSHA GUIDE-H-1-20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 산업재해현황분석
(OPS; One Page Sheet) 근로자의 건강은 일터에서부터. 뇌·심혈관 질환 예방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_사업자료_직업건강
https://www.kosha.or.kr/kosha/data/business/occuHealthBusinessData.do?mode=view&articleNo=241324&article.offset=0&articleLimit=10&srSearchVal=%EB%87%8C%EC%8B%AC%ED%98%88%EA%B4%80&srSearchKey=article_title
고용노동부 정책자료_분야별 정책_안심 일터_건강한 안심 일터 조성
http://www.moel.go.kr/policy/policyinfo/workplace/list5.do
작업관련 뇌심혈관 질환 예방 (우정공무원교육원 제작)
http://youtube/Hn72mWXLbKU
https://chs.kdca.go.kr/chs/stats/statsMain.do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23.07.11.검색).산업재해발생현황.
https://www.kosha.or.kr/kosha/data/industrialAccidentStatus.do?mode=view&articleNo=431158&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