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ground rul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관리 ground rule
1.1. 조정과 협력의 정의 및 내용
1.1.1. 조정의 정의
1.1.2. 조직 내외의 조정
1.1.3. 협력
1.2. 팀워크(팀빌딩)
1.2.1. 개념
1.2.2. 팀 빌딩의 단계
1.3. 조정과 협력 문제해결
1.3.1. 보건의료팀의 구성원 역할
1.3.2. 팀워크의 원리
1.3.3. 조정과 협력 문제해결 방안
1.4. 결론
1.4.1. 조정과 협력의 중요성
1.4.2. 향후 과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관리 ground rule
1.1. 조정과 협력의 정의 및 내용
1.1.1. 조정의 정의
조정의 정의는 둘 이상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모든 부분의 활동을 통합, 조화시키는 것이다. 즉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의 공동 목표의 달성을 위해 모든 활동을 집중하도록 통합화해주는 것이다. [1]
조직 내 조정은 조직의 전반적인 업무활동과 관련되어 하부조직체계로 분화된 이들 조직 단위가 상호 연관되어 업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상호의존성은 조직 내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고 조직 간 조정 또한 발생한다. 보건의료기관들은 다양한 규제기관, 의료장비 및 재료공급자, 보험자, 지불자 등 외부 환경의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다. 민쯔버그의 5가지 조정 기전인 상호 조정, 직접 감독, 업무과정의 표준화, 업무결과의 표준화, 업무자의 기술 표준화 등이 있다. [1]
협력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전에 관계하였거나 관계하지 않은 두 개 이상의 부서가 함께 공조하여 힘을 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건의료기관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의 건강 회복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임상분야에서 간호사는 환자결과를 위해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동료, 관련부서와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1]
팀 문제는 팀원 간의 신뢰와 협력 하에 목표를 달성한다. 팀 운영의 1단계로 팀의 목표를 정한다. 이때 목표는 반드시 구성원 모두가 동의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목표는 팀의 기본적인 기능이며 존재 이유이고 구성원의 업무 수행을 위한 동기유발을 촉진한다. 2단계는 팀의 규칙을 정한다.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이 지켜야 할 기본 규칙인 그라운드 룰(ground rules)을 정한다. 3단계는 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정한다. 목표 성취를 위해 필요한 팀 구성원의 역할을 정하고, 책임을 명확히 한다. 4단계는 팀 활동을 촉진한다. 팀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팀 구성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상호 갈등을 제거하고, 의사소통하는 역동적인 팀을 유지시킨다. 마지막은 팀 성과를 확인한다. 팀의 목표에 대한 평가를 통해 팀워크를 높이고, 목표달성의 동기를 유지시키며 성과를 향상시킨다. [1]
협력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소비자의 권리 의식 증진과 의료서비스 선택의 폭 확대로 인해 환자중심 진료로 변화함에 따라 의료진, 의료서비스 제공자, 환자, 가족 간 협력관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환자 진료는 다양한 역할과 의사결정의 책임을 가지는 고도의 전문인력이 상호의존적으로 연계되어 수행하는 위험도가 높고 복잡한 과정이므로 이들 전문직 간 면밀한 계획과 시간조정, 노력 등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역할 확대로 인해 질 관리 간호사, 진료협력센터 간호사, 보험심사간호사 등이 생겨났다. [1]
이처럼 조정과 협력은 의료기관 내에서 필수적이며, 의료기관의 업무와 환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의료기관의 구성원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과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자에 대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렵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추가 내용]
1.1.2. 조직 내외의 조정
조직 내 조정은 조직의 전반적인 업무활동과 관련되어 하부조직체계로 분화된 이들 조직 단위가 상호 연관되어 업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상호의존성은 조직 내 상황에만 국한되지 않고 조직 간 조정 또한 발생한다. 보건의료기관들은 다양한 규제기관, 의료장비 및 재료공급자, 보험자, 지불자 등 외부 환경의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다. 민쯔버그의 5가지 조정 기전 중 상호 조정, 직접 감독, 업무과정의 표준화, 업무결과의 표준화, 업무자의 기술 표준화 등이 조직 내외의 조정을 위해 활용된다. 상호 조정은 위계적 관계에 있지 않은 개인들 사이의 비공식적 의사소통을 통해...
참고 자료
김종경 외(2016), 간호관리학, 현문사, p. 498-528
이병욱 외 공저. 간호관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2019. p.506-515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21.05.30.
정성우. 간호사의 역할과 오해. 인제대신문. 2021.05.30.
편집국. 병원 간호사 노동과정과 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1.05.30.
약제부. 일반약제팀. 삼성서울병원. 2021.05.30.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상)』, 현문사(2018), 7판
황옥남 외 3명저, 『성인간호학(하)』, 현문사(2018), 7판
이영휘, 권영은 외,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2017), 8판
국제가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2016)
차영남 외 3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3)
KIMS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폐암센터
https://www.snuh.org/reservation/meddept/LUCC/cancerIntro.do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서울아산병원-질환정보,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8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질병관리본부-폐암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5237&menu_seq=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