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암환자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암 환자 사례 보고 및 문헌고찰
1.1. 병태생리
1.2. 임상증상
1.3. 진단검사
1.4. 간암의 병기
1.5. 치료
1.6. 간호
2. 일반정보
3. 병력
4. 신체검진
5. 생활습관 및 낙상/욕창/통증 사정
6. 임상소견
6.1. 혈액검사
6.2. 진단검사
7. 약물
8. 간호과정
8.1. TACE 시술 전 환자의 불안
8.2. TACE 시술 후 고체온
8.3. 입원 후 환경적 변화에 따른 변비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암 환자 사례 보고 및 문헌고찰
1.1. 병태생리
간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세포암은 대부분 만성 간염(B형 및 C형 간염)이나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만성 염증 상태는 간세포의 반복적인 손상과 재생을 유도하며, 이는 돌연변이 발생과 암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HBV와 HCV는 간세포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HBV는 바이러스 유전체가 숙주의 유전체에 통합되어 직접적으로 발암을 촉진할 수 있으며, HBV 유전자산물은 종양 억제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세포 주기 조절을 방해할 수 있다. 반면, HCV는 직접적인 유전체 통합 없이도 간세포의 염증과 간경변을 유발하여 간세포암을 촉진한다. 간경변은 간세포암 발생의 중요한 위험 요소이다. 간경변 상태에서는 간세포의 정상적인 구조가 손상되고 재생이 반복되면서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간세포는 여러 유전적, 분자적 변화를 축적하게 되어 발암 과정을 촉진한다. 또한, 간경변 상태에서는 간 혈류의 변화와 산소 공급 부족이 발생하여 종양을 형성할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과 같은 대사성 간질환도 간세포암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이들 질환은 간내 지방 축적과 염증을 유발하여 발암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
1.2. 임상증상
간암 환자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간암 환자는 대부분 진단 전 증상이 없으며 정기 선별검사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최초 증상은 복통과 체중 감소, 복부 우측 상단에 만져지는 종괴이다. 간경화증이 오래된 환자는 예기치 않게 위독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열이 나타날 수 있다. 간헐적으로 암의 파열이나 출혈로 인한 돌발적인 복통과 쇼크가 최초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환자는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을 수 있다.
1.3. 진단검사
간암 환자에 대한 진단검사로는 알파태아단백(alpha-fetoprotein, AFP) 검사와 영상검사가 주로 활용된다. 간암이 발생하면 환자의 혈액에서 AFP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AFP 검사는 간암 선별 검사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초기 간암에서 AFP가 유의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약 50%에 불과하기 때문에, AFP 검사만으로는 간암 진단을 놓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초음파나 CT, MRI 등의 영상검사를 함께 시행해야 간암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영상검사에서 간 내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으나 종양의 종류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간 생검을 통해 간암을 확진한다.
1.4. 간암의 병기
간암은 여러 단계의 병기로 구분된다. 간암의 병기는 종양의 크기와 범위, 림프절 전이 여부, 그리고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TNM 병기 체계에 따르면, T 인자는 종양의 크기와 혈관 침범 여부를 나타낸다. 종양이 작고 혈관 침범이 없으면 T1, 크기가 크거나 혈관 침범이 있으면 T2, T3 등의 병기로 구분된다. N 인자는 림프절 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림프절 전이가 없으면 N0, 있으면 N1이다. M 인자는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전이가 없으면 M0, 있으면 M1이다.
이를 종합하여 AJCC 병기 체계에 따르면, 간암의 병기는 0기부터 4기까지 구분된다. 0기는 가장 초기 단계로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이고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이다. 1기는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이지만 혈관 침범이 있거나, 종양의 크기가 2cm 초과 5cm 이하이고 혈관 침범이 없는...
참고 자료
김종욱, 이호성, 박진우. (2020). 복강경 간절제술의 안전성과 효과 분석. 한국외과학회지, 30(2), 153-162.
이승철, 박민수. (2021). 간세포암의 발생과 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 간담췌외과학회지, 25(4), 325-335.
박현우, 김진수. (2021). 복강경 간 절제술에서 해부학적 고려사항. 대한외과학회지, 35(1), 101-110.
유재형, 정승호. (2020). 복강경 간 절제술의 최신 술기. 간담췌외과학회지, 29(4), 325-333.
드러그인포
https://total.druginfo.co.kr/Pharmacy/Introduction/MAINBOARD.aspx?type=MAIN&ckey=BITHOSPITALINFO&key=11289999
황옥남 외/성인간호학 상권/현문사/2019.01.15.
이강이 외/건강사정/현문사/201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