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낭 및 담낭 질환의 개요
1.1. 담낭의 해부생리학적 기능
담낭의 해부생리학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며, 담낭은 담즙을 농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방 섭취 시 콜레시스토키닌이 분비되어 담낭을 수축시키면서 담즙이 소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지방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담즙산이 지방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리파아제의 작용을 돕고 지방산과 결합하여 지방 흡수를 증진시키기 때문이다.[1,2,3]
1.2. 담낭 질환의 정의 및 분류
담낭 질환은 크게 담석증과 담낭염으로 구분된다. 담석증은 담즙 내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생성되는 결석성 질환이다. 담낭염은 담낭의 염증성 질환으로, 결석성 담낭염과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나뉜다. 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이 담관을 막아 담즙 정체와 담낭벽 자극으로 발생하며,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혈류 저하나 세균 침입으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담낭염은 급성 담낭염이 반복되어 진행되는 경우이다. 황달과 공막황달은 담낭염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담관 폐색이나 담낭벽의 염증으로 인해 담즙이 원활히 흐르지 못해 나타난다. 담낭 질환은 지속적인 통증, 소화불량, 염증반응 등을 유발하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3. 담석증을 동반한 급성 담낭염의 병태생리
담석증을 동반한 급성 담낭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담석증은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염의 비정상적인 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여 형성된다. 담석은 정상 또는 비정상 담즙 성분의 응집, 증식, 정체, 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콜레스테롤 담석과 혼합석으로 구성된다. 담석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담즙의 농축, 담즙핵의 형성, 담석질의 축적이 필요하다.
담석증을 동반한 급성 담낭염에서는 보통 담석이 담관을 막아 담즙이 정체되어 발생한다. 담즙이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담낭벽을 자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담낭의 부적절한 순환, 부종 및 팽만과 더불어 담낭벽의 허혈 상태를 초래한다. 그 결과 조직은 괴사되고 탈락하여 담낭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천공부위가 국소적인 경우 농양이 형성되고 클 경우에는 복막염이 발생한다.
2. 담낭염의 임상적 특징
2.1. 증상
급성 통증, 소화불량, 춥고 떨리는 증상, 구역·구토,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담석이 담관을 막아 담즙이 정체되면 담낭벽을 자극하여 부종 및 팽만과 더불어 담낭벽의 허혈상태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조직이 괴사되고 탈락하여 담낭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천공부위가 국소적일 경우 농양이 형성되고 크면 복막염이 발생한다.
2.2. 진단검사
우상복부의 초음파검사는 담낭염을 진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급성담낭염인 경우 담낭벽의 부종과 담낭 주위의 체액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검사로 확진할 수 없을 때 방사성 핵종영상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해 백혈구 수치가 상승한다. 증상이 비슷한 위염, 소화성 궤양, 식도역류질환, 간기능장애, 췌장염 등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위장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상부 위장관조영술을 시행한다. 간기능장애가 의심되면 혈청 alkaline phosphatase, 혈청 간효소검사(AST), LDH 상승을 확인한다.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