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성인간호학 폐부종 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폐부종의 정의 및 분류
2. 본론
2.1. 폐부종의 병태생리
2.2. 폐부종의 임상 증상
2.3. 폐부종의 진단적 검사
2.4. 폐부종의 치료
2.5. 폐부종 간호중재
3. 사례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간호진단 및 계획
3.3. 간호중재 및 평가
4. 결론
4.1. 소감 및 자기성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부종은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심장질환이나 폐질환이 있는 고령 환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이 폐부종으로 사망할 가능성은 청년에 비해 3~5배 높다. 이에 사례연구를 통해 폐부종의 원인과 증상을 확인하여 이에 맞는 간호와 치료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대상자에게 빠른 회복이 될 수 있도록 더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폐부종은 혈관 밖에 체액 또는 수분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생하는 부종으로,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간질강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폐포낭에 체액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폐부종은 원인에 따라 심인성과 비심인성으로 나뉜다. 심인성 폐부종은 좌심실 부전, 승모판협착증 등 심장질환이 주요 원인이며, 비심인성 폐부종은 급성 폐손상, 신기능 장애 등이 원인이 된다.
사례연구를 통해 폐부종의 병태생리, 임상 증상, 진단적 검사, 치료 및 간호중재 등을 확인하고 이해함으로써 폐부종 환자의 증상 완화와 빠른 회복을 위한 간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폐부종의 정의 및 분류
폐부종은 폐 간질 및 폐포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저산소증과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상태이다. 폐부종은 원인에 따라 크게 심인성과 비심인성으로 나뉜다. 심인성 폐부종은 심혈관계 문제로 인한 폐정맥 정수압 상승으로 발생하며, 비심인성 폐부종은 급성 호흡부전증후군과 같이 폐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드물지만 뚜렷한 심장질환 없이도 수혈이나 신기능 장애 등으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폐부종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와 간호 접근이 필요하다.
폐부종은 심장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심인성과 그 밖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심인성으로 나뉘며, 이는 치료 방법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심인성 폐부종은 좌심실 부전으로 인한 폐정맥압 상승이 원인이며, 비심인성 폐부종은 폐모세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드물지만 수혈이나 신기능 장애와 같은 다른 요인들로 인해서도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폐부종의 정의와 원인에 따른 분류는 환자의 상태 파악과 적절한 치료 및 간호 중재를 위해 중요하다.
2. 본론
2.1. 폐부종의 병태생리
폐부종은 폐순환에서의 정수압과 교질 삼투압의 불균형 상태로 발생한다. 정수압과 교질 삼투압의 평형이 깨질 때 체액은 폐 모세혈관으로부터 사이질 공간으로 빠져 나온다. 폐부종의 가장 흔한 질환은 급성 심근경색이며 경색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심부전이 일어나며 좌심부전이 흔하다. 좌심실에서의 혈액 박출량이 감소되면 좌심실의 이완기말이 상승되고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출이 어렵게 되어 좌심방의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역 전달되어 폐정맥압 상승, 모세혈관의 정수압이 높아져 장액성 및 혈성 체액이 페모세혈관 내피를 통하여 폐 간질강과 폐포 내로 누출된다. 점차 세기관지강과 기관지, 심하면 기관에 누출액이 새어 들어가서 흡기 때 공기의 유입을 막게되며, 이때 신속한 치료르 하지 않으면 심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게 된다.
2.2. 폐부종의 임상 증상
폐부종의 증상은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침, 호흡곤란이 발생하면서 호흡수가 빨라지는 과호흡이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숨이 차면서 숨을 쉴 때에 고양이 소리 같은 천명음이 들리는 경우도 있어 천식과의 감별이...
참고 자료
최신 기본 간호학(상,하)/ 수문사
성인간호학 / 수문사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건강보험심사평가원(https://repository.hira.or.kr/)
통계청(https://kostat.g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intro.do)
아산병원 질환백과(http://www.amc.seoul.kr/asan/main.do)
윤은자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V D'orio, A Ancion, P Lancellotti. (2018). Acute heart failure and acute pulmonary edema. Rev Med Liege. 5(6). 251-256p.
해당병원 EMR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이은희 외 공저. (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저.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서울아산병원의약품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pageIndex=1&searchKeyword=%EC%A4%91%EC%99%B8%EC%97%94&odcd=XB-JNS250
급성폐부종 https://m.blog.naver.com/jmjt2446/19877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