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은/-ㄴ 적이 있다/없다 모의강의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전통사회에서의 부모교육 원리
1.2. 전통교육을 바탕으로 한 자녀 인성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2. 본론
2.1. 인간교육의 원칙
2.2. 부모됨의 원칙
2.3. 참인간되기 프로그램
2.4. 자녀 군자 만들기
2.5. 전통교육으로 참부모 되기
3. 결론
3.1. 전통교육의 현대적 활용
3.2. 자녀 인성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전통사회에서의 부모교육 원리
전통사회에서의 자녀교육은 태아 교육에서부터 시작하여 가정 교육과 학교 교육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전통 사회의 자녀교육과 현대사회의 자녀교육 사이에는 가장 큰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전통사회의 자녀교육은 태아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현대사회의 자녀교육은 지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인성교육이 소홀한 편이다. 이러한 자녀교육 방식은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를 길러내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자녀교육은 인성교육으로 교육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인성으로 인격 형성의 토대를 마련하고 '인간다운 인간'으로 자녀를 길러낸다면 자녀의 미래를 밝고 건강하게 이끌어 갈 수 있다. 전통교육에서는 이러한 인간교육에 관해 일곱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효도교육이다. 효도란 부모의 사랑이 귀중한 것임을 알고 부모의 사랑을 받기 위한 자녀의 노력을 의미하며, 특히 어릴 때 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공경교육이다. 공자는 효 교육이 잘 된다면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도 저절로 생긴다고 보았다. 셋째, 정직 교육이다. 행실을 바르게 하고 정직한 마음을 가지면 모범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넷째, 선의 교육이다. 사회생활의 기본은 남에게 신뢰를 받을 때 시작되며, 이를 위해서는 말을 신중히 해야 하고 생각을 깊이 해야 한다. 다섯째, 사랑 교육이다. 대중적 사랑은 모든 사람을 두루두루 사랑하는 것이며, 이는 덕이 있는 자녀로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관계 교육이다. 어떤 친구 관계를 맺느냐는 매우 중요하며, 유학에서는 인의 덕목을 강조한다. 일곱째, 학문 교육이다. 인성교육이 선행된 뒤에 지식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공자는 이러한 일곱 가지 인간교육의 원칙을 선 인성교육과 후 지식 교육으로 정리하였다.
부모는 자녀의 롤모델이기 때문에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있다. 첫째, 솔선수범의 원리이다. 전통사회에서는 관찰, 모방, 동일시를 통해 생활양식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므로, 부모는 자녀에게 덕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 둘째, 온고지신의 원리이다. 부모는 항상 배운 것을 토대로 가르치고 창조적이고 새로운 생각으로 자녀를 키워야 한다. 셋째, 교학상장의 원리이다. 부모는 자기 자신의 부족함과 한계를 알게 되면 반성하고 노력하여 성장해야 한다. 넷째, 소통의 원리이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원만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가정에서 부모와의 소통을 경험하면서 배려의 윤리를 발휘할 수 있다.
이처럼 전통사회에서의 부모교육은 인간교육의 일곱 가지 원칙과 부모됨의 네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1.2. 전통교육을 바탕으로 한 자녀 인성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전통사회에서의 자녀교육은 태아 교육에서부터 가정 교육, 학교 교육으로 연결되며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현대사회의 자녀교육은 지적 발달에 중점을 두어 인성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어 개인주의적이고 자...
참고 자료
김경미, 「자녀 인성함양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통교육을 기반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전수진, 「유아 예절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한영진, 「부자자효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