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경험학습이론의 개요
경험학습이론은 학습자가 구체적인 경험을 토대로 학습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듀이(Dewey)는 경험이 학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계속성(continuity)'과 '상호작용성(interaction)'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즉, 학습자들은 이전의 경험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학습하고 변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후 콜브(Kolb)는 듀이의 이론을 기반으로 경험주의 학습이론을 발전시켰다. 콜브는 학습이란 경험의 변형을 통하여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경험의 획득(prehension)과 가공(transformation) 활동의 변증법적 지속을 통해 경험학습 과정을 설명하였다. 즉, 경험의 요소들이 조합되고 상호작용하면서 순환적 경험학습 모형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 콜브의 경험학습 모형은 경험학습의 과정을 간결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경험학습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1.2. 콜브(Kolb)의 경험학습 모형
콜브(Kolb)의 경험학습 모형은 경험이 학습의 원천이자 자극이 된다고 설명한다. 학습이란 경험의 변형을 통하여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이며, 경험의 획득과 가공 활동의 변증법적 지속을 통해 경험학습 과정이 형성된다.
콜브(Kolb)는 경험학습 과정을 4단계로 설명한다. 첫째, 구체적 경험 단계는 새로운 경험을 수용·획득하는 과정이다. 둘째, 반성적 관찰 단계는 구체적 경험에 대하여 다각도로 성찰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셋째, 추상적 개념화 단계는 반성적 관찰을 통해 얻은 결과와 원리를 추출하고 정리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능동적 실험 단계는 추상적 개념화를 통해 얻은 원리나 가정을 적용해 새로운 방식으로 직접 실행하거나 이해하려는 시도를 전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경험학습 과정은 순환적으로 반복되며, 학습자의 구체적 경험에서 출발하여 반복적인 성찰과 개념화, 실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학습을 심화시켜나간다. 경험을 통한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경험학습 모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3. 경험학습의 의의
경험학습은 학습이 결과가 아닌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학습자는 구체적 경험을 통해 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반성적으로 관찰하며 추상적 개념화를 거쳐 능동적 실험을 하는 순환적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학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기존 경험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이는 삶에 대한 인식 변화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진다. 또한 경험학습은 학습자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며, 학습을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위한 총체적인 과정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경험학습은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실천을 통한 지식의 창출을 강조함으로써 기존 교육에서 간과되었던 학습자의 역할을 부각시킨다. 이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삶에 맥락을 부여하고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경험학습의 의의는 학습을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이고 실천적인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학습자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데 있다.
2. 콜브(Kolb)의 경험학습 모형
2.1. 구체적 경험
구체적 경험은 일상생활 중 기존의 가치나 기대로 수용되지 않는 문제적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외부로부터 새로운 경험을 수용·획득하는 과정이며, 기본적 관점으로 환경이 이해되지 않거나 정서적 불편함을 제공하는 경험을 접함으로써 학습이 시작되는 것이다. 듀이(Dewey)의 경험주의 학습 이론을 기본적으로 지지하면서 경험주의 학습 이론을 발전시킨 콜브(Kolb)는 학습이란, 경험의 변형을 통하여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학습은 결과가 아니라 지속적인 과정이며, 경험의 획득(prehension)과 가공(transformation) 활동의 변증법적 지속을 통해 경험학습 과정을 설명한다. 즉, 경험의 여러 가지 요소들이 조합되고, 상호작용의 연속 과정을 통해, 순환적 경험학습 모형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2.2. 반성적 관찰
반성적 관찰 단계는 주변 환경,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의미에 대한 이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