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상생활동작훈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일상생활동작훈련의 목적
1.2. 훈련단계
1.3. ADL 수행 구비조건
1.4. 훈련지침
2. 본론
2.1. 일상생활동작훈련의 종류
2.1.1. 침상훈련
2.1.2. 의자차 훈련
2.1.3. 보행훈련
2.1.4. 신변에 관한 활동
2.2. ADL 훈련의 구체적인 방법
2.2.1. 침상 훈련
2.2.2. 의자차 훈련
2.2.3. 보행훈련
2.2.4. 신변에 관한 활동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일상생활동작훈련의 목적
일상생활동작훈련의 목적은 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훈련시켜 일상생활을 가능한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일상생활 동작 훈련에서의 훈련단계를 수립하는 것은 중요하며, 동작에 대한 논리적 순서 인지, 좌우 구별력, 시간 장소 사람 그리고 자신에 대한 지남력, 자신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조직화 능력, 수행의 정도에 따른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 이해 등의 ADL 수행 구비조건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의 능력 사정과 우선 순위 존중, 도움 정도와 보조기구 결정, 간단한 과업 → 복잡한 과업 순으로 훈련, 의존 → 보조→ 감독 → 독립 순으로 훈련, 환자가 잘 할 때 칭찬, 격려해주는 것 등의 훈련지침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일상생활동작훈련의 핵심 목적이다.
1.2. 훈련단계
훈련단계는 일상생활동작 훈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일상생활동작 훈련의 순서를 단계적으로 수립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훈련은 단순한 동작에서 복잡한 동작으로, 의존적인 상태에서 독립적인 상태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침상에서의 동작 훈련을 실시하고, 점차 의자차 훈련, 보행훈련 등으로 단계를 올려나간다.
각 동작 수행에 필요한 구비조건들을 충족시키면서 훈련을 진행한다. 대상자의 능력과 상황에 맞추어 도움의 정도와 보조기구 사용 등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나간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독립적으로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훈련 과정에서는 대상자의 수행 정도에 따라 격려와 칭찬을 병행하여 긍정적인 동기를 부여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자신감 및 재활 의지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동작 훈련의 단계적 접근은 대상자의 기능 회복과 독립성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각 단계에 맞는 구체적인 훈련 방법과 보조기구 활용, 그리고 긍정적인 피드백 등을 통해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3. ADL 수행 구비조건
동작에 대한 논리적 순서 인지, 좌우 구별력, 시간 장소 사람 그리고 자신에 대한 지남력, 자신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조직화 능력, 수행의 정도에 따른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 이해가 ADL 수행을 위한 구비조건이다. 논리적 순서 인지와 좌우 구별력은 동작 수행에 기본이 되는 능력이다. 시간, 장소, 사람, 자신에 대한 지남력은 동작의 맥락과 상황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조직화하고 파악하는 능력은 동작을 계획하고 조절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동작 수행의 결과에 대한 이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동작 수행을 위해 중요하다. 이와 같은 ADL 수행 구비조건들은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높이고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1.4. 훈련지침
대상자의 능력을 사정하고 우선순위를 존중한다. 도움의 정도와 보조기구를 결정한다. 간단한 과업에서 복잡한 과업의 순으로 훈련한다. 의존에서 독립으로 향상되도록 훈련한다. 환자가 잘 할 때 칭찬과 격려를 해준다.
이는 일상생활동작 훈련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지침이다. 대상자의 능력과 상황을 세심하게 파악하여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훈련을 실시하며, 격려와 칭찬으로 동기를 부여한다. 이를 통해 자립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본론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의정부 성모병원 일상생활동작훈련
을지대학교 재활의학과 교수 김재형 블로그
삼성서울병원 뇌신경센터
진해 연세병원
포천시 청소년 상담 지원센터
google 이미지
서문자, 강현숙, 임난영, 오세영, 권혜정(2008), 재활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299-306
소희영, 조복희, 서연옥(2007), 재활간호학, 서울: 현문사, p438-449
황옥남(2012), 재활간호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현문사, p84, 290, 293
마에다 마사하루(2012), 노인재활, 서울: 영문출판사, p370-376
재활간호(1992) 현문사 김봉옥, 소희영 . p.89~112
재활의학(1997) 대학서림 오정희 p.140~145, 195~205
재활의 이론과 실제(1997) 서울대학교출판부 서문자 외 4인 p.222~251
성인간호학Ⅰ(2004) 수문사 .. 김정화 외 2인 p.638~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