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원내 기구및2025.03.011. 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멸균 방법 1.1.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은 다음과 같다. Suction bottle(흡인통)은 매 환자마다 또는 장기 사용 시 7일마다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Suction catheter는 사용 후 폐기한다. 소변기와 대변기는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청진기, 체온계, 토니켓, EKG/EEG lead는 매 환자 사용...2025.03.01
-
Rt hemi2025.03.111. 서론 1.1. 뇌졸중 환자의 재활 과정 뇌졸중 환자의 재활 과정이다.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뇌혈관질환으로, 운동, 감각, 인지 등 다양한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 과정에서는 이러한 장애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독립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 발병 초기에는 급성기 치료가 이루어지며, 이후 재활치료가 진행된다. 재활치료 과정에서는 환자의 전반적인 기능 수준을 평가하고, 이에 기반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평가 항목에는 이학적 검사, 근력 및 관절가동범위 평가, 균형 및 보행 평...2025.03.11
-
성인간호학 실습 절단 환자 간호 문헌고찰2025.03.161. 절단 환자 간호 1.1. 절단(amputation)의 정의 절단(amputation)은 환자의 병소가 되는 인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절단은 급성 외상 또는 말초혈관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한다. 절단은 개방식과 폐쇄식으로 구분된다. 개방식 절단은 환부를 단면으로 절단하여 감염이 있을 때 시행하며 삼출액의 배출을 위해 상처를 봉합하지 않는다. 폐쇄식 절단은 환부를 절단한 후 절단부의 피부로 절단 상처를 완전히 봉합하여 폐쇄하는 것으로, 절단부에 감염의 우려가 ...2025.03.16
-
일상생활동작훈련2025.03.151. 서론 1.1. 일상생활동작훈련의 목적 일상생활동작훈련의 목적은 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훈련시켜 일상생활을 가능한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일상생활 동작 훈련에서의 훈련단계를 수립하는 것은 중요하며, 동작에 대한 논리적 순서 인지, 좌우 구별력, 시간 장소 사람 그리고 자신에 대한 지남력, 자신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조직화 능력, 수행의 정도에 따른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 이해 등의 ADL 수행 구비조건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의 능력 사정과 우선 순위 존중, 도움 정도와 보조기구 결정, 간단한 과업 → 복잡...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