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애니어그램 소개
1.1. 애니어그램의 정의와 기원
애니어그램(Enneagram)은 그리스어 '아홉'을 의미하는 'ennea'와 '그림'을 의미하는 'grammos'의 합성어이다. 이는 아홉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그림으로, 사람의 성격 유형을 나타내는 이론이다. 애니어그램은 다양한 고대 전통의 영적 지혜에서 기원하였으며, 현대 심리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 이론은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게 해주며, 개인의 성격과 행동 방식을 아홉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애니어그램은 개인의 강점과 약점, 행동 양상 등을 꿰뚫어보며,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1.2. 애니어그램의 3가지 상징 구조
애니어그램의 3가지 상징 구조는 원(Circle), 삼각형(Triangle), 헥사드(Hexade)이다.
원(Circle)은 통합, 전체, 단일성을 상징하며 신은 하나임을 나타낸다. 삼각형(Triangle)은 모든 세계의 주요 종교들이 우주가 이원성이 아니라 삼원성에서 생겨났다는 '3의 법칙'을 상징한다. 헥사드(Hexade)는 구르지예프가 명명한 '7의 법칙'을 나타내며, 모든 존재하는 것은 움직이고 뭔가 다른 것으로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세 요소를 결합하면 에니어그램의 상징이 되며, 전체성(원)과 세 가지 힘(삼각형)이 어떻게 상호 작용해서 그 결과가 얻어졌는지, 어떻게 그것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진화하는지(헥사드)를 보여준다.
1.3. 에니어그램의 역사
에니어그램의 역사는 약 2500년 전 아프가니스탄 지방에서 생겨났으며 6세기경 이슬람교의 수피(Sufi)파 신비주의자들 사이에서 구전되었다. 수피들은 에니어그램을 인간의 내면을 성숙시키는 영적 지도와 상담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많은 사람에게 가르치지 않고 수제자 두 사람에게만 전수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두 사람 중 한 명인 차기 지도자에게만 허락되었기 때문에 오랜세월 동안 에니어그램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러시아의 신비주의 스승인 구지예프가 1920년대에 유럽 사회에 에니어그램을 소개하였고, 20세기 중엽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의 심리학자들을 중심으로 이 인간학의 조사연구가 추진되어 과학적으로 가치가 인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성직자 수도자들의 내면 성찰 도구로 사용되다가 최근 여러 에니어그램관련 단체들이 생겨나고 활발한 활동을 통해 에니어그램의 저변이 확대되었다.
2. 9가지 성격유형
2.1. 본능(Body), 감정(Heart), 사고(Head) 중심 유형
8, 9, 1번 유형은 자신의 본능, 생명력의 근원, 힘에 이끌린다. 이들은 몸, 기본적인 삶의 기능, 생존에 관심을 둔다. 이 유형들은 공격과 억압과 관련된 문제들을 갖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자아를 방어하는 행동의 밑바탕에 많은 분노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관심사는 환경에 저항하고 환경을 통제하는 것이며, 문제는 분노와 억압이다. 이들은 독립성을 추구하며, 내재된 감정은 분노이다.
2, 3, 4번 유형은 자아 이미지에 관심을 가진다. 이들은 자신에 대한 이야기와 가장된 특성들이 자신의 실제 정체성이라고 믿는다. 이들은 자아를 방어하는 행동의 밑바탕에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 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