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 사례보고서
1.1. 자료수집
만성신부전 환자의 검사결과를 살펴보면, 일반혈액검사에서 HGB, HCT, RBC, lymphocyte(%), lymphocyte(#), RDW, PDW가 감소한 빈혈 소견을 보였다. 일반화학검사에서는 Total protein, glucose, creatinine, Chloride(Cl)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 당뇨와 신부전이 확인되었다. 혈액응고검사 결과 aPTT가 연장되어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인 흉부 CT에서는 폐 부위에 비특이적 소견이 관찰되었고, 심전도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이 확인되었다. 활력징후는 투석 전후로 주기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혈압과 맥박이 비정상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물투여 기록을 통해 다양한 약물이 투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검사결과와 활력징후, 임상증상을 통해 만성신부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신장기능의 저하, 전해질 불균형 및 합병증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2. 간호과정 적용 사례
1.2.1. 간호사정
대상자는 만성신부전을 진단받고 있으며, 검사소견을 통해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수치가 낮아 빈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크레아티닌 수치가 10.81mg/dL로 급격히 증가하여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혈액검사 결과 전해질 불균형도 관찰되는데, 칼륨 수치가 5.3mEq/L로 높고 염소 수치가 87mEq/L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 대상자는 메스꺼움, 구토, 저린감, 욱신거림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객관적 자료 검토 결과 흉부 CT에서 폐질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활력징후 측정 시 혈압 변화가 불안정한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기능과 순환기능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검사 결과와 증상을 종합해볼 때, 대상자는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합병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2.2. 간호진단
만성신부전 환자는 비효과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기관지 손상이 있다. 이는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수분과다로 폐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여 호흡곤란, 청색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만성신부전 환자는 전해질 불균형, 특히 저칼륨혈증과 관련된 골격계 및 신경계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신기능 저하로 인해 전해질 배설이 원활하지 않아 근육 경련, 심장 부정맥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호흡양상과 전해질 불균형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1.2.3. 간호계획
대상자의 호흡양상, 호흡수 증가, 가쁜호흡을 사정하는 이유는 수분과잉을 나타내는 호흡장애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저칼륨혈증과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을 사정하는 이유는 뼈의 탈무기질화와 골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의 전신, 국소감염 증상을 사정하는 이유는 면역체계 저하로 인한 대상자의 감염을 조기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의 체중의 증가와 감소를 관찰하는 이유는 수분과잉여부와 영양상태,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에게 염분 제한식이를 제공하는 이유는 부종과 고혈압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와의 관계를 증진하며, 슬픔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이유는 슬픔과정을 잘 이겨내도록 돕기 위함이다. 대상자에게 이뇨제를 투여하는 이유는 혈압을 조절하거나 수분과다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1.2.4. 간호수행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사정하였다.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전해질 불균형과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체액량 상태와 심혈관계 기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삽입부위 피부상태를 매 근무마다 사정하였다. 카테터 삽입부위의 발열, 부종, 통증, 발적 등의 징후를 관찰하여 감염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