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OPD 간호과정 비효과적 호흡양상, 활동 지속성 장애, 불안 사례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대상 및 방법
2. 본론
2.1. 문헌고찰
2.2. 간호사정
2.2.1. 일반적 특성
2.2.2. 현병력
2.2.3. 과거력
2.2.4. 가족력
2.2.5. 이학적 소견
2.2.6. 검사결과
2.3. 간호과정
2.3.1. 비효과적 호흡양상
2.3.2. 활동의 지속성 장애
2.3.3. 불안
3. 결론
3.1. 요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COPD는 사망률 세계 4위(국내 7위)의 질병으로, 우리나라에는 COPD 환자가 어느 정도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 45세 남성의 12%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앓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년간 약 25,000명 정도가 이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향후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인환자의 증가로 COPD 환자가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COPD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2019년 02월 25일부터 2019년 03월 08일까지 OO병원 내과 병동에서 실습 중 COPD 진단을 받은 OOO님을 대상으로 관찰과 면담, EMR을 통한 Chart, Lab Data, 간호정보조사지 등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대상 선정과 자료 수집 방법을 통해 COPD 환자의 간호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혈액 속으로 들어오게 하고,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숨을 들이마시면 코로 들어온 공기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를 거쳐 폐포에 도달한다. 폐포에서는 확산형성에 의해 혈액 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교환하게 되고,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은 순환을 통해 산소를 조직으로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는 폐포를 통해 내쉬는 숨으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호흡작용 외에 폐는 호흡에 의해 열을 발산시켜 체온을 조절하고, 호흡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산과 염기의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호흡조절의 기전은 뇌의 호흡중추의 활동을 통하여 율동적이고 규칙적인 환기가 되게 하는 신경성 조절과 순환혈액 및 체액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통해서 신경성 조절을 보완하는 화학적 조절이 있다. 신경성 조절은 교뇌와 연수에 호흡조절중추가 존재하고, 화학적 조절은 중추화학수용체와 말초화학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며, 동맥혈의 CO2분압의 증가, O2분압의 큰 감소, H+증가 등에 반응하여 환기를 증가시킨다. CO2의 증가는 중추화학수용체에 작용하고, O2감소는 말초화학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기를 증가시킨다. 가장 강력한 자극은 동맥혈의 CO2분압의 증가와 H+증가이다. 정상 상태에서는 산소분압이 화학수용기를 흥분시킬 만큼 감소하는 일이 없으나 위급한 저산소증 시에는 볼 수 있다. 말초 화학수용체는 총경동맥의 분지부에 있는 경동맥 소체와 대동맥궁에 있는 대동맥 소체이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기도가 폐쇄되거나 좁아져서 공기유통을 계속적으로 폐쇄하는 폐질환이다. 폐염증으로 폐실질 파괴(폐기종)과 소기도질환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도에서의 공기흐름제한이 진행되고 호흡곤란과 COPD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COPD의 주요 원인으로는 흡연, 작업장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먼지와 자극제, 연기, 대기오염과 가정 내의 난방과 음식 조리로 발생하는 물질, 감염 등이 있다. 흡연은 주요한 유발원인으로 흡연을 하면 폐 세포가 증식되고 그 결과 과도한 점액이 생산되어 기도 내경이 좁아지고 분비물 제거가 어렵게 된다. 섬모운동이 감소되고 섬모세포가 소실되며 폐포막은 파괴되고 폐포말단의 공기주머니는...
참고 자료
김성태외 공역 , 2018.05.05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에듀퍼스트
황옥남 외, 2018.01.10.,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폐기종 사진 http://www.juthis.com/sub/products.php?page=a1
성인간호학1 그림
http://www.kimsonline.co.kr 킴스 의약정보센터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p247-34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1. p592, p667-670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ⅠⅡ. 수문사. 2021. p430-434, p511
인체생리학연구회. 인체생리학. 은학사. 2021. p117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