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이 질환의 발병 원인은 다양한데, 신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신부전의 발병원인은 당뇨병(45.4%), 고혈압(18.3%), 만성 사구체신염(11.1%) 순으로 나타났다.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은 대사 장애,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 심혈관계 변화, 혈액계 변화, 위장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신경계 변화, 근골격계 변화, 피부계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요법, 영양요법, 신기능대체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 등의 치료가 필요하며, 신장이식술도 고려된다.
2. ESRD 케이스 개요
2.1. 질병의 정의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CRF)이란 토리여과율의 저하를 중심으로 콩팥기능장애가 발생한 상태이다. 콩팥기능상실 상태의 경과에 따라 급성 콩팥기능상실과 만성 콩팥기능상실로 나뉜다. 급성 콩팥기능상실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반면,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발병하며 생존을 위해 투석이나 콩팥이식을 해야한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의 경우 토리여과율이 감소하여 혈청요소질소(BUN)와 혈청 크레아티닌이 증가하고, 요독증이 발생하게 된다. 말기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은 만성 콩팥기능상실의 마지막 단계로, 사구체여과율이 15 ml/min/1.73m2 미만으로 떨어져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신장 기능 대체요법인 혈액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2.2. 원인
만성 콩팥기능상실의 원인은 복잡하며 콩팥기능의 점신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다양하다. 콩팥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콩팥기능상실의 발병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순으로 나타나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은 말기 콩팥기능상실의 가장 큰 원인이다. 당뇨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만성적인 고혈당은 콩팥 혈관과 사구체를 손상시켜 점진적으로 콩팥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고혈압은 혈압상승으로 인한 콩팥혈관과 사구체 손상을 통해 콩팥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사구체신염은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콩팥 사구체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 또한 말기 콩팥기능상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2.3. 병태생리 및 증상
신장기능의 저하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상대적으로 신기능이 감소하게 되면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및 배설 능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조금만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