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수업지도안 - 우체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1.2. 연결어미 '-다가'의 선정 배경
2. '-다가' 연결어미의 문법 수업 지도안
2.1. 도입
2.2. 제시 및 설명
2.3. 연습
2.4. 활용
2.5. 마무리
3. 결론
3.1. 문법 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3.2. 다양한 연결어미 교육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한국어는 이제 한류와 세계화에 힘입어 세계인의 관심을 갖는 언어가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어는 어렵다는 말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 한국어는 문장구조나 어순들에 있어 많은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낯설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당위성이 필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그래서 마땅히 먼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 철저한 문법 교육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문법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2. 연결어미 '-다가'의 선정 배경
'-다가'의 선정 배경은 다음과 같다. 이 연결어미는 '전환', '인과', '배경', '종료', '지속' 등 여러 가지 의미로 설명되어 온 문법 요소로서, '-다가'는 상적 의미가 크게 자리잡고 있는 연결어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가'의 상적 특성이 한국어 교육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으며 다양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는 '-다가'를 선정하였다. 학습자들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다가'는 상적 특성이 강하여 문법 교육에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에 이를 주요 연결어미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다가' 연결어미의 문법 수업 지도안
2.1. 도입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한국어는 문장 구조와 어순이 영어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법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중급 수준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다가'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효과적인 문법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고자 한다.
'-다가'는 '전환', '인과', '배경', '종료', '지속' 등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갖고 있는 연결어미로, 특히 상적 의미가 크게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적 특성이 한국어 교육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고, 다양한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다가'를 선정하여 문법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고자 한다.
2.2. 제시 및 설명
'-다가'는 동사 또는 형용사 뒤에 붙어 앞의 행위나 상태와 그에 이어지는 다른 행위...
참고 자료
고영근(1981/1998).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서울: 탑출판사.
고영근(2004/2007).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서울: 태학사.
김문웅(1982). ‘-다가’류의 문법적 범주. <한글> 176, 한글학회. 149쪽∼178쪽.
김윤신(2004).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사건함수 ‘-고 있다’의 기능, <형태론>6권 1호, 형태론.
김윤신(2006).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 30호, 한국어학회.
김준기(2010). 연결어미 ‘-다가’의 의미에 대하여, <국어학> 108, 한국어문학회.
김천학(2014). 한국어 동사의 종결성에 대한 연구. <언어와 정보사회> 21, 언어정보연구소.
노마 히데키(1993/2002).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서울: 태학사.
박소영(2003). 연결어미의 관점 상 기능, <형태론> 5권 2호, 형태론.
박소영(2011). 한국어 어휘상에 대한 통사론적 접근, <형태론> 13권 2호, 형태론.
송창선(2003). 접속어미 ‘-다가, -거든, -(으)면’에 통합되는 ‘-었-’의 기능. <문학과언어> 25호, 문학과언어연구회.
오경숙(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었다가’의 文法 記述, <語文硏究> 39권 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기갑(2004). “-다가”의 의미 확대, <語學硏究> 40권 3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이슬비(2014), 이중언어학 제56호(2014.9.30).한국어 연결어미 ‘-다가’의 교육 내용 연구
이호승(1997). 현대 국어의 상황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민정(2007). 한국어 에서 상의 두 양상 에 대한 고찰. 서울: 한국 문화사.
홍윤기(2005). 연결어미의 상적 의미 표시 기능, <語文硏究> 33권 1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홍윤기(2009). 상적 의미에 따른 연결어미의 결합 제약 연구, <이중언어학> 40호, 이중언어학회.
홍윤표(2005). 국어정보학. 서울: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