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말기신장병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말기 신장병 간호진단
2.1. 문헌 고찰
2.2. 간호력
2.3.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말기신장병은 콩팥의 기능이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상실되어 신장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상태이다. 말기신장병의 주요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이며 특히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말기신장병 환자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과 합병증을 경험하게 되므로 체계적이고 전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말기신장병 환자의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말기 신장병 간호진단
2.1. 문헌 고찰
콩팥의 구조와 기능
콩팥은 후복막 내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척주의 양측에 있다. 우측 콩팥이 간 아래에 있어 좌측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있다. 콩팥 내에는 신피막과 신문이 존재하며, 피질, 수질, 콩팥깔때기로 구분된다. 콩팥의 기능적 단위인 네프론은 100만 개 이상 존재한다.
네프론은 사구체, 보우만 주머니,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 및 집합관으로 구성된다. 사구체에서 이루어지는 여과, 세뇨관에서의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통해 하루 약 1,500ml의 소변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체내 체액량, 전해질, 산-염기 균형이 조절된다. 또한 콩팥은 비타민 D 합성, 적혈구 생성, 인슐린 분해 등의 대사 기능도 수행한다.
콩팥은 혈압 조절에도 관여한다. 교감신경계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를 통해 혈압을 조절하고, 항이뇨호르몬과 연계하여 체액량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콩팥은 체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말기신장병은 토리여과율이 15ml/min/1.73m^2 미만으로 떨어져 콩팥 기능이 거의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콩팥 기능대체요법인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하다. 말기신장병의 주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 등이다.
말기신장병이 진행되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단백질 대사 노폐물 축적으로 인한 요독증, 전해질 불균형, 대사성 산증, 빈혈, 심혈관계 합병증, 신경계 장애 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식욕부진, 구토, 설사, 허약감, 신경병증, 골격계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말기신장병 환자...
참고 자료
황옥남 외 (2019.01).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황옥남 외 (2019.0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송경애, 박형숙 외 (2019.2) 최신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외 (2019.2)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송경애, 박형숙 외 (2019.2)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김순오 외 (2018.2) 임상약리학,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의학백과사전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6/5/1.do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 건강/질병정보
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20
OO요양병원 EMR
유선영(2023) 노인간호학(제2판) 고문사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건강간호학Ⅱ(아홉 번째 판). 수문사
노성신, 박은주 외 3명(2022). 노인간호학. 형설출판사
성미혜 외 공저(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48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2019)
최연순 외,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II, 수문사(9판)
김연숙 외, 건강사정, JMK, 제 3판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2019)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II, 수문사(2019),
이인모 외,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II(2018), 수문사
그림으로 보는 우리몸의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Vol2, jordi Vigue 외, 도서출판정담, (2019)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성미혜 외,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2018),
TERUO WATANABE, 쉽게 배우는 아틀란스 병리학, 의학교육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2019)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2019)
이인모 외,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II(2018) 수문사
최명애 외, 임상약리학, 현문사(2018)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i.nhis.or.kr/cb/ggpcb001/ggpcb001_m0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