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들어 일군의 심리학자들과 일선 교육 종사자들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성격유형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학습태도, 학습전략 등은 성격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를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고, MBTI와 U&I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Keirsey의 4가지 기질적 분류가 MBTI와 U&I 검사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고,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학습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1.2. 성격심리검사의 개념 및 활용
성격이란 한 개인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독특한 심리·신체적 대응체계이다. 따라서 성격은 타고난 성향적 패턴인 기질을 내포하기에 크게 변화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성격심리검사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파악하여 이해하고 활용하는 도구이다. 대표적인 성격심리검사로는 MBTI와 U&I 학습성격유형검사가 있다.
MBTI는 Jung의 심리유형을 바탕으로 개발된 검사로, 외향성-내향성,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의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선호경향과 행동양식을 파악할 수 있다.
U&I 학습성격유형검사는 학습과 관련된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행동형, 규범형, 탐구형, 이상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학습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성격심리검사 결과는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진로 및 직업 선택, 대인관계 향상, 교육 및 상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다.
1.3. 학업성취도와 성격유형의 관계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예,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학습태도, 학습전략)은 성격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주성, 장원창, 김철(2012)의 연구에 따르면 경영학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고(T)형과 판단(J)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이란 한 개인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독특한 심리·신체적 대응체계로 주어진 상황에 대처하는 사고와 감정 및 행동양식의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성격은 타고난 성향적 패턴인 기질을 내포하고 있어 MBTI 성격유형과 U&I 학습성격유형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Keirsey의 4가지 기질 유형에 근거한 MBTI와 U&I 4가지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비교해 보면, MBTI 검사 결과와 U&I 검사 결과에서 어떤 합치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성격유형과 학습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이는 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MBTI 성격유형론
MBTI 성격유형론은 Jung의 심리유형론을 기반으로 하며, Myers와 Briggs가 개발한 성격검사 도구이다. MBTI는 개인의 선호경향을 확인하여 16가지 성격유형으로 구분한다.
MBTI의 4가지 선호지표는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이다. 이 지표들은 상호 독립적이며 개인은 이 중 한 지표에 선호경향을 나타낸다.
E-I 지표는 개인의 주의집중과 에너지 방향을 나타낸다. 외향형(E)은 외부세계에 집중하고 활동적이며, 내향형(I)은 내면세계에 집중하고 조용한 편이다.
S-N 지표는 정보 수집 방식을 나타낸다. 감각형(S)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보에 관심이 많고, 직관형(N)은 추상적이고 직관적인 정보에 관심이 많다.
T-F 지표는 판단 과정을 나타낸다. 사고형(T)은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판단하며, 감정형(F)은 개인적 가치와 감정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J-P 지표는 삶의 양식과 관련된다. 판단형(J)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삶을 선호하며, 인식형(P)은 유연하고 즉흥적인 삶을 선호한다.
MBTI의 4가지 기능유형(ST, SF, NT, NF)과 4가지 기질유형(SP, SJ, NT, NF)도 중요한 개념이다. 기능유형은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