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종교적 관점에서 본 동물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물실험에 대한 종교적 관점
1.1. 동물실험의 정의 및 실태
1.2. 동물실험에 대한 사회적 견해
2. 동물실험에 대한 철학자들의 입장
2.1. 데카르트
2.2. 데이빗 흄
2.3. 임마누엘 칸트
2.4. 제레미 벤담
3. 동물실험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3.1. 인간은 동물을 지배할 권리가 있다
3.2. 동물은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
4. 결론
4.1. 동물실험에 대한 나의 생각
4.2. 동물실험이 나아가야 할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물실험에 대한 종교적 관점
1.1. 동물실험의 정의 및 실태
동물실험은 의학적 연구를 위해 동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는 것이다. 1996년 미국의 동물실험 통계에 따르면 영장류 5만 2,000여 마리, 개 8만 2,000마리, 토끼 33만 9,000마리를 포함한 130만 마리의 동물들이 동물실험을 위해 사용되었다. 매년 미국에서만 7억 마리의 동물들이 연구에 사용되며 매 3초마다 동물들이 실험대에서 고통 속에 죽어간다. 특히 토끼는 화장품이나 자극물 투여 실험에 많이 사용되는데, 이때 토끼는 움직일 수 없는 조건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자극을 받게 된다. 또한 학습된 무기력증 실험과 같이 동물에게 심각한 고통을 야기하지만 뚜렷한 결과를 내지 못하는 불필요한 실험들도 많이 존재한다. 한편 동물실험을 통해 생물의과학 발전이 있었다는 견해와 실험동물이 일반 동물에 비해 매우 적은 수라는 주장도 있다.
1.2. 동물실험에 대한 사회적 견해
동물실험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동물실험이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이들은 동물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이유로 동물실험을 반대한다.
미국 농무부의 조사에 따르면 1996년에 수많은 동물들이 동물실험을 위해 사용되었다. 특히 토끼는 화장품 등 자극물이 투여되는 드레이즈 눈 자극 실험에 많이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토끼는 극심한 고통을 겪는다. 또한 단순히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별다른 성과도 없이 불필요한 동물실험이 행해지기도 한다.
한편 동물실험으로 인해 생물의과학이 발전할 수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 영국에서는 매년 약 300만 마리의 동물이 실험에 사용되지만, 식용과 오락 등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에 비해 그 수가 훨씬 적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동물들도 인간처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이며, 특히 침팬지와 같은 고등동물들은 인간과 유사한 생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험 과정에서 동물들이 겪는 고통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한 실험동물의 수를 최소화하고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등 보다 윤리적인 실험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2. 동물실험에 대한 철학자들의 입장
2.1. 데카르트
데카르트는 인간은 영혼을 가지고 있지만 동물들은 영원불멸의 영혼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기독교의 입장을 수용하였다. 그는 '동물은 기계이며 자동 인형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쾌락이나 고통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동물들이 칼로 베어지거나 뜨거운 쇠에 데일 때 몸부림치고 소리를 질러대는 것은 고통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는 ...
참고 자료
구경국, 그리스도교 환경 윤리(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0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과학연구윤리(당대출판사, 2001년)
장원돈, 지구화 시대의 사회 윤리(한울아카데미, 2005년)
제인 구달 ․ 마크 베코프, 제인 구달의 생명 사랑 십계명(바다출판사, 2003년)
피터 싱어, 동물해방(인간사랑, 1999년)
아동행동수정, 저자 강경미, 출판 학지사, 2006.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