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상성 혈기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혈기흉의 정의 및 유형
1.3. 외상성 혈기흉의 병인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폐의 해부생리학
2.1.2. 외상성 혈기흉의 병태생리
2.1.3. 증상 및 진단
2.1.4. 치료 방법
2.2. 간호사정
2.2.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2.2.2. 성인 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 수집
2.2.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 해석
2.2.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2.3.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2.3.1. 간호진단 우선순위
2.3.2. 핵심 간호문제에 대한 간호계획
2.3.2.1. 흉강내 혈액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3.2.2. 외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2.3.2.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3.2.4. 치료와 관련된 불안
3. 결론
3.1. 결론
3.2.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질병관리청의 2020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 환자의 수는 8435명으로 인구 10만명당 16.4명으로 적지 않은 수이다. 중증외상의 비율은 TA가 54.9%, 추락 및 미끄러짐이 37.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TA의 경우, 넘어진 경우, 떨어진 경우 등 다양한 사고에서 우리는 늑골이 골절된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2008년 대한외상학회지 다발성 늑골골절의 외상성 혈기흉 발생에 대한 영향에서는 늑골 골절이 발생하면 대상자들의 70%에서 혈기흉이 발생한다는 자료만큼 혈기흉의 발생 빈도는 높다. 또한 2023년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의하면 흉부 외상 환자에서는 혈흉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데 흉부 외상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 발생하며 기흉과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외상성 혈기흉의 정의와 증상, 치료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혈기흉 대상자에게 적절하며 효율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이 사례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1.2. 혈기흉의 정의 및 유형
혈기흉은 흉막강으로의 출혈을 수반한 기흉을 가리킨다. 자연성과 외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혈기흉은 외상 또는 뚜렷한 원인 없이 흉곽 내부에 공기와 혈액이 동시에 축적되는 경우이며, 자연성 기흉 환자의 1∼12% 정도에서 발생한다. 주로 젊은 연령층의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병이다.
외상성 혈기흉은 둔탁한 힘이나 관통 손상이 폐 및/또는 기도를 손상시켜 초래된다. 손상으로 인해 공기가 폐를 빠져나가 폐와 흉벽 사이에 모이며, 다른 조직에서 발생한 출혈로 인해 흉막강 내에 혈액이 고이게 된다. 이는 가장 흔한 외상 후 합병증 중 하나이다.
혈기흉은 흉부 외상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기흉과 동반되기도 한다. 주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저혈압, 청색증, 맥박과 호흡수 증가 등이 있다. 폐를 압박하여 호흡을 방해하고 실혈로 인해 혈압이 저하된다.
1.3. 외상성 혈기흉의 병인
외상성 혈기흉은 대부분 둔탁한 힘(자동차 사고나 낙상 등)이나 관통 손상(자상 또는 총상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외상이 폐 및/또는 기도를 직접 손상시키게 되어 공기가 폐를 빠져나가 폐와 흉벽 사이에 모이게 된다. 또한 다른 조직에서 발생한 출혈로 인해 흉막강 내에 혈액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외상성 혈기흉은 흉강 내에 공기와 혈액이 함께 축적되는 질병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다발성 늑골골절에 의한 흉벽 손상의 70% 이상에서 발생할 정도로 늑골 골절이 주요한 원인이 된다. 골절된 늑골에 의한 폐 손상으로 인해 혈기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폐쇄성 흉벽 혈관 손상이나 다른 장기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흉막강 내압의 상승으로 인해 출혈이 자연스럽게 멎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심하여 흉강 배액이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 된다. 결국 외상으로 인해 폐와 흉벽이 손상되면서 공기와 혈액이 흉강 내부로 유입되어 혈기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폐의 해부생리학
폐는 우리 몸의 호흡을 담당하는 호흡기관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폐는 오른쪽이 세 개의 엽, 왼쪽이 두 개의 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두 겹의 흉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 부르며, 이 공간에 흉막액이 흘러 폐의 수축과 이완을 돕는다.
흉막강 내부에는 공기와 혈액이 정상적으로 존재하지만, 외상성 손상이나 기저 질환으로 인해 폐와 흉막 사이에 공기 또는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경우 기흉이나 혈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폐의 기능을 위협하여 호흡곤란, 저산소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폐의 구조와 폐의 호흡 기능, 그리고 이를 조절하는 흉막강 내 압력의 균형 유지가 정상 호흡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2.1.2. 외상성 혈기흉의 병태생리
외상성 혈기흉은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다발성 늑골골절과 폐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골절한 늑골이 폐를 찌르거나 흉벽의 혈관이 파열되어 흉막강 내로 출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흉막강 내압이 상승하여 폐가 압박되고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또한 출혈로 인해 실혈이 발생하여 쇼크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처럼 외상성 혈기흉은 골절과 출혈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병태생리를 가지고 있다. 흉막강 내압 상승과 폐압박, 그리고 실혈로 인한 쇼크가 주요 병태생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상성 혈기흉 환자의 경우 호흡곤란과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2.1.3. 증상 및 진단
외상성 혈기흉은 흉부 외상 환자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혈기흉이란 흉막강에 혈액이 차있는 경우를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외상성이다. 외상성 혈기흉의 주요 증상은 흉통, 호흡곤란, 저혈압, 청색증, 맥박과 호흡수 증가 등이다. 흉막강 내에 공기와 혈액이 차면서 호흡 과정 중 폐를 압박하게 되어 호흡을 방해하고, 혈관 밖으...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 2명 저 / 현문사
기본간호학 / 김금순, 박영례외 4명 저 / 신광출판사
건강사정 / Carolyn Jarvis 저, 임경춘 역 / 정담미디어
[네이버 지식백과] 혈기흉 [hemopneumothorax, 血氣胸]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83761&cid=55558&categoryId=55558
[네이버 지식백과] 기흉 [pneumothorax]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2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Ⅱ, 김금순, 김영숙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Ⅱ, 송경애 외.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은자 외 (2021년) 「성인간호학1」 (9판 개정) 수문사. P 644-653
성미혜 외, (2019년)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B-TRX2G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양승준, 이제원, 진상찬, 주명돈, & 최우익. (2008). 다발성 늑골골절의 외상성 혈기흉 발생에 대한 영향. 대한외상학회지 제, 21(2).
이호준, 권훈, 김창원, 황보리, Lee H, Kwon H, Kim CW, Hwangbo L. 흉부 및 대혈관 외상의 인터벤션. J Korean Soc Radiol. 2023 Jul;84(4):809-823. https://doi.org/10.3348/jksr.2023.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