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진기 회로의 동작 원리
1.1. RC 결합 발진기
안정화 발진기의 한 종류인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항과 커패시터의 시정수에 의해 발진 주기가 결정되며, 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정현파나 구형파를 출력할 수 있다.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RC 네트워크에 증폭기를 연결하여 구현한다. 증폭기의 출력이 RC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되돌려져 적절한 위상차와 이득을 가지면 발진이 발생한다. 증폭기의 전압이득이 1보다 크고 위상천이가 180도가 되도록 설계하면 발진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RC 결합 발진기의 주파수는 RC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며, 주파수 f = 1 / (2πRC)의 관계가 성립한다. 저항 R과 커패시터 C의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RC 결합 발진기는 수십 Hz에서 수 k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RC 결합 발진기는 단순한 구조와 낮은 코스트로 인해 널리 사용되며, 클럭 발생기, 타이머, 신호 발생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회로에서도 RC 발진기가 사용되고 있다.
1.2. 위상 천이 발진기
위상 천이 발진기는 증폭기와 RC 필터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발진 회로이다. 증폭기의 출력이 RC 필터 네트워크를 통해 180도 위상 이동된 신호가 다시 증폭기의 입력으로 연결되면 발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위상 천이 발진기는 주파수가 안정적이고 왜곡이 적은 정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가변 저항 값을 조정하여 발진 주파수를 707Hz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론상 발진 주파수는 649.74Hz로 계산되었지만, 실제 측정값과 약 57Hz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오차 및 정확한 발진점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a, b, c 지점의 위상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도, 108도, 178도의 위상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이론적인 180도 위상 차이와 근접한 값으로, 위상 천이 발진기의 동작 원리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위상 천이 발진기의 동작 원리와 발진 주파수 측정, 위상 차이 분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진 회로의 이해는 다양한 전자 회로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트랜지스터 특성 실험
2.1. 트랜지스터 단자 검사
다이오드의 저항과 임계전압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단자를 검사할 수 있다. 양(+) 단자와 음(-) 단자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 결과, 베이스-콜렉터 단자(1과 3) 사이에서 높은 임계전압이 나타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