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크룹 질병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크룹의 정의 및 개요
1.1. 크룹의 정의
1.2. 크룹의 분류
1.2.1. 감염성 크룹
1.2.2. 비감염성 크룹
1.3. 크룹의 병인론
1.4. 크룹의 원인과 징후
2. 크룹의 임상 증상
2.1. 호흡곤란
2.2. 호흡기 폐쇄
2.3. 기타 임상 증상
3. 크룹의 진단
3.1. 병력 청취 및 신체검진
3.2. 진단검사
4. 크룹의 치료
4.1. 치료 목적
4.2. 초기 치료
4.2.1. 높은 습도와 찬 공기 공급
4.2.2. 에피네프린 치료
4.2.3. 스테로이드 치료
4.3. 추가 치료
4.3.1. 항생제 치료
4.3.2. 기도 삽관 및 기관절개술
5. 크룹 간호
5.1. 기도 유지
5.2. 수분 균형 유지
5.3. 불안감 감소
6. 예후 및 합병증
6.1. 합병증
6.2. 예후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크룹의 정의 및 개요
1.1. 크룹의 정의
크룹이란 주로 급성이며 컹컹거리는(bark-like) 또는 쇳소리의(brassy) 기침을 하면서 목이 쉬거나 숨을 들이마실 때 천명음(stridor)이 들리거나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을 통틀어 말한다. 크룹은 후두의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되는데, 후두(larynx)의 기도 직경이 줄어들면 이의 4배로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점막의 부종이나 염증으로 인한 경한 기도 단면적 감소로도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후두의 염증은 병변이 단순히 후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관 또는 기관지에도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1.2. 크룹의 분류
1.2.1. 감염성 크룹
감염성 크룹은 바이러스나 세균감염으로 인해 후두, 기관, 주요기관지의 염증이 발생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크룹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다. 이런 바이러스가 기관과 기관지를 침범할수록 쇳소리 기침과 흡기성 천명음이 들리기 시작하며, 이것이 더 심해지면 지속적인 천명음이 들리고 흉벽 함몰 등의 기도 폐색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가장 심한 상태에서는 환아가 서 있거나 앉아 있으려고만 하고 안절부절 못하다가 결국 호흡 저하로 사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침 및 호흡곤란 증상은 밤에 더욱 심해진다.
크룹은 상부 기도 폐색의 증상이 나타나기 1~3일전부터 콧물, 가벼운 기침, 미열 등의 증상이 있게 된다. 이후에 특징적인 컹컹거리는/개짖는 소리의(barking) 기침과 함께 쉰 목소리, 흡기 시 천명음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밤에 심하며, 정도가 약해지다가도 다시 재발하기도 하며 주로 1주 이내에 완전히 나아지게 된다. 좀 더 나이가 든 아이의 경우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을 수 있다.
바이러스가 주로 원인이 되는 감염성 크룹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상부 기도 폐색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며, 진찰 상에서는 쉰 목소리와 코를 킁킁거림, 경하게 부은 인두, 약간 증가된 호흡수를 보인다. 드물게 상부 기도 폐색이 심한 경우에는 빈호흡, 콧구멍을 벌렁거림, 흉부 함몰, 지속적인 천명음(stridor)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감염성 크룹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세균성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비감염성 크룹
비감염성 크룹은 감염성 요인과는 무관하게 발생하는 크룹이다. 주로 1-3세의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데, 그 원인으로는 알레르기, 역류성 식도염, 정신적 요인 등이 제시되고 있다.
비감염성 크룹의 대표적인 유형인 급성 연축 후두염(Acute spasmodic laryngitis)은 감염과의 연관성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를 일컫는다. 대부분 단순히 후두의 경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는 전형적인 크룹의 증상인 쉰 목소리, 개 짖는 소리와 같은 기침, 흡기시 천명음 등이 나타나지만, 대개 저녁에 악화되었다가 다음날 낮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발열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후두개염이나 세균성 기관염과 같은 심각한 질환과는 달리, 급성 연축 후두염은 대부분 예후가 좋은 편이다. 다만 증상이 반복되어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감염성 크룹에 대한 치료는 감염성 크룹과 차이가 있는데, 주로 가습기를 이용한 습도 조절과 에피네프린 흡입 요법 등이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1.3. 크룹의 병인론
크룹의 병인론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으로,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염이 후두, 기관, 기관지를 침범하면서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 균은 parainfluenza virus이며, 그 외에도 aden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luenza virus, 홍역 바이러스 등이 크룹을 일으킬 수 있다"". 때로는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크룹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먼지나 연기의 흡입, 과도한 성대 사용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1.4. 크룹의 원인과 징후
크룹의 원인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크룹은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 점막에 침투하면서 염증을 일으켜 발생한다...
참고 자료
김미예 외 15명(2010년),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개정판),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크룹 [croup]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김조자 외9명, 수문사
기본간호학 1&2, 손정태 외8명, 현문사
아동간호학 총론, 김영혜 외 12명, 현문사, 2015.08.15.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12명, 현문사, 2015.08.15.
드러그인포, budecort ,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Ventolin Nebules,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Ivduo Syrup,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Hebron Syrup,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Pseudafed Tab,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Fosran Injection 1g,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Gentamycin Injection, 0000년 00월 25일 검색
드러그인포, Muteran Injection, 0000년 00월 25일 검색
KMLE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KIMS의약정보센터 https://www.kimsonline.co.kr/
코리안 메디http://koreanmed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