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QI 정신병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제 개요
1.2. 주제 선정 배경
1.3. 원인 분석 (Fish-bone)
2. 질 향상 활동
2.1. 활동 목표
2.2. 핵심 지표
2.3. 자료수집 계획
2.4. 개선 전략
2.5. 활동 실시
3. 활동 평가
3.1. 질적 지표 달성 여부
3.2. 환자 만족도
3.3. 보호자 피드백
4. 결론 및 제언
4.1. 활동 성과
4.2. 지속 가능성 방안
4.3. 향후 계획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제 개요
최근 정신보건영역의 세계적인 추세는 환자의 개인치료나 환자와 가족간의 역동적인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예방과 치료적인 재활을 통한 사회적 기능회복으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이 제정됨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조기퇴원이 권장되면서 정신치료의 관심이 퇴원후 사회적응 문제로 집중되고 있다. 정실질환의 대표적 질환이라고 할 수 있는 정신분열병은 흔히 사춘기에 호발하며 만성화 과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의료시설로부터 퇴원한 많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재발이 잦고 반복입원을 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 분열병 환자들 중 40-60%는 퇴원 후 정신병적 잔존증상을 보이고, 5-25%는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퇴원 후 1년 이내에 약 40%, 그리고 5년 이내에 약 75%가 재발하게 된다. 최근에는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범사업이 점차 확장되어 정신보건센터 등에서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병원에서의 정신사회재활 치료는 자원부족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32병동 (학생)은 퇴원후 환자의 재발을 방지하고 사회 재적응을 돕기 위하여 병원환경에서의 추후관리프로그램에 대한 QI를 주제로 선정하였다.
1.2. 주제 선정 배경
최근 정신보건영역의 세계적인 추세는 환자의 개인치료나 환자와 가족간의 역동적인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예방과 치료적인 재활을 통한 사회적 기능회복으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이 제정됨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조기퇴원이 권장되면서 정신치료의 관심이 퇴원후 사회적응 문제로 집중되고 있다. 정신분열병은 흔히 사춘기에 호발하며 만성화 과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의료시설로부터 퇴원한 많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재발이 잦고 반복입원을 하게 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 분열병 환자들 중 40-60%는 퇴원 후 정신병적 잔존증상을 보이고, 5-25%는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퇴원 후 1년 이내에 약 40%, 그리고 5년 이내에 약 75%가 재발하게 된다. 이에 32병동 (학생)은 퇴원후 환자의 재발을 방지하고 사회 재적응을 돕기 위하여 병원환경에서의 추후관리프로그램에 대한 QI를 주제로 선정하였다.
1.3. 원인 분석 (Fish-bone)
간호단위의 경우, 전문 지도인력 부족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교육하는 경우에도 일대일의 개별화된 교육은 질적인 측면이나 의의가 크지만 대부분의 임상현장이 충분한 간호 인력 확보가 어렵고 시간 제한적인 점을 감안할 때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용이하고 집단의 역동을 치료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
참고 자료
정신분열병의 재발요인에 관한 연구, 진성태 외 5명, 2011년,학술논문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전원희,외 2명,2011년,학술논문
미숙아의 수유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이재영 외 2명,2014년,학술논문
병원관리의 질 향상(QI) 활동에 관한 인식도 조사 연구,오형원,2011년,학위논문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조미영,2013년,학위논문
국내 정신질환자 장기 입원의 구조적 원인과 지속요인,장홍석,2010년,학위논문
Schizophrenia : shifting the balance of cafe.,Kavangh,1995년,학술논문
대전을지대학교 병원 8병동 교육 자료 (욕창 관련 지침서)
기본간호학 1,2 수문사 , 욕창 관리 part.
선문대학교 관리학 지침서 욕창 사정 도구
욕창예방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병원간호사회
[욕창 분류체계교육프로그램이 병원간호사의 욕창 분류 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2014년, pp.342 - 348 이윤진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기초과학연구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간호사들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욕창예방실무지식,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 수행도 간의 상관성] 2018년, pp.408 - 419 강명자 (부산대학교병원) ,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욕창 관리의 실제, 대한임상노인의학회, Vol.11 No.1 [2010], 임지향